AD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미국 국채 가격이 거의 위험자산 수준으로 움직이고 있단 말이에요. 이게 우리나라 경제에는 영향이 없을까요?
◇ 주원
아무래도 미국 국채가 움직인다는 거는 금리가 올라간다는 건 유럽, 일본을 포함해서 우리나라 국채금리도 같이 따라 올라갑니다. 그렇게 금리가 올라가고 불안할 때는 주식시장이 상당히 마이너스 영향을 받습니다. 금융시장 쪽에 1차적인 충격이 올 것 같고요. 다만 실물경제에서는 지금 미국 경제건전성을 말하는 게 30년물 국채잖아요. 기간이 깁니다. 그래서 실물경제에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 같은데. 우리나라 금융시장을 포함해서 주요국의 주식, 외환, 채권시장에 미국의 30년물 금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
◆ 앵커
당장 증시에 미칠 영향을 말씀하셨는데 어제만 해도 우리 증시가 굉장히 흔들렸습니다. 코스피가 2600선 내줬네요.
◇ 주원
그 영향이 여파를 받고 있고요. 코스피가 약세를 보였던 건 외국인하고 기관들이 계속 팔았습니다. 역시 미국 쪽에서의 충격이 우리나라 시장으로 밀려들어오고 있는 것 같고. 그런데 개인은 또 샀어요. 우리나라 개인들은 항상 기관하고 외국인 투자와 반대로 가는 경향. 상식적으로 그쪽에서 살았으면 누군가 사줘야 되지 않겠습니까? 우리 개인들이 많이 사준 것 같고. 그런데 문제는 코스피뿐만 아니고 외국인들의 매매를 보면 선물시장에서도 같이 팔았습니다. 그래서 현물과 선물을 합쳐서 어제 한 1조 원 정도를 팔았다고 하는데 방향성이 현물하고 선물이 한쪽을 팔면 한쪽에서 사서 약간 해지 개념이 있는데 선물도 같이 팔았다는 거는 약간 불안한 움직임으로 생각을 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앵커
이런 증시 상황이 있었고요. 국채금리하고 증시만 흔들리는 게 아니라 달러화 가치도 많이 오락가락하는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까 우리 환율도 1400원대 아래로 내려왔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봐야 합니까?
◇ 주원
달러화가 안전자산이 이제는 아닌 게 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달러화의 긴축통화의 자격이 상실됐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그런 것 때문에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많이 시장에서 평가가 떨어지면 반대로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올라가니까 그렇게 되는 것 같고요. 다만 지난 새벽에 보면 달러화 인덱스라는 게 있습니다. 달러화 대비 주요국 엔화, 유로화 등등 6개국 통화에 대해서 달러 가치를 지수로 산정하는 그런 지표가 있는데. 화면에서 보실 때는 100보다 오래 있으면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는 거. 즉 원달러 환율을 말하면 원달러 환율 가치가 내려간다는 거죠, 원화가치가 강세가 되는 거고. 100보다 위에 있으면 약세인데. 차트에서는 22일 99.57로 100보다 밑으로 떨어졌는데 지난 새벽에 100을 살짝 상회했습니다. 그래서 변동성은 있는데 멀리 본다면 올해 초에는 상당히 달러가 강세였잖아요. 많이 떨어진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가 상당히 변덕스럽고 왔다갔다하잖아요. 그것 때문에 미국 경제를 믿을 수 없다. 그리고 연준이 트럼프하고 각을 세우다 보니까 달러화 가치에 대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상당히 평가를 절하시키는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미국 국채 가격이 거의 위험자산 수준으로 움직이고 있단 말이에요. 이게 우리나라 경제에는 영향이 없을까요?
◇ 주원
아무래도 미국 국채가 움직인다는 거는 금리가 올라간다는 건 유럽, 일본을 포함해서 우리나라 국채금리도 같이 따라 올라갑니다. 그렇게 금리가 올라가고 불안할 때는 주식시장이 상당히 마이너스 영향을 받습니다. 금융시장 쪽에 1차적인 충격이 올 것 같고요. 다만 실물경제에서는 지금 미국 경제건전성을 말하는 게 30년물 국채잖아요. 기간이 깁니다. 그래서 실물경제에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 같은데. 우리나라 금융시장을 포함해서 주요국의 주식, 외환, 채권시장에 미국의 30년물 금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
◆ 앵커
당장 증시에 미칠 영향을 말씀하셨는데 어제만 해도 우리 증시가 굉장히 흔들렸습니다. 코스피가 2600선 내줬네요.
◇ 주원
그 영향이 여파를 받고 있고요. 코스피가 약세를 보였던 건 외국인하고 기관들이 계속 팔았습니다. 역시 미국 쪽에서의 충격이 우리나라 시장으로 밀려들어오고 있는 것 같고. 그런데 개인은 또 샀어요. 우리나라 개인들은 항상 기관하고 외국인 투자와 반대로 가는 경향. 상식적으로 그쪽에서 살았으면 누군가 사줘야 되지 않겠습니까? 우리 개인들이 많이 사준 것 같고. 그런데 문제는 코스피뿐만 아니고 외국인들의 매매를 보면 선물시장에서도 같이 팔았습니다. 그래서 현물과 선물을 합쳐서 어제 한 1조 원 정도를 팔았다고 하는데 방향성이 현물하고 선물이 한쪽을 팔면 한쪽에서 사서 약간 해지 개념이 있는데 선물도 같이 팔았다는 거는 약간 불안한 움직임으로 생각을 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앵커
이런 증시 상황이 있었고요. 국채금리하고 증시만 흔들리는 게 아니라 달러화 가치도 많이 오락가락하는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까 우리 환율도 1400원대 아래로 내려왔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봐야 합니까?
◇ 주원
달러화가 안전자산이 이제는 아닌 게 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달러화의 긴축통화의 자격이 상실됐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그런 것 때문에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많이 시장에서 평가가 떨어지면 반대로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올라가니까 그렇게 되는 것 같고요. 다만 지난 새벽에 보면 달러화 인덱스라는 게 있습니다. 달러화 대비 주요국 엔화, 유로화 등등 6개국 통화에 대해서 달러 가치를 지수로 산정하는 그런 지표가 있는데. 화면에서 보실 때는 100보다 오래 있으면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는 거. 즉 원달러 환율을 말하면 원달러 환율 가치가 내려간다는 거죠, 원화가치가 강세가 되는 거고. 100보다 위에 있으면 약세인데. 차트에서는 22일 99.57로 100보다 밑으로 떨어졌는데 지난 새벽에 100을 살짝 상회했습니다. 그래서 변동성은 있는데 멀리 본다면 올해 초에는 상당히 달러가 강세였잖아요. 많이 떨어진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가 상당히 변덕스럽고 왔다갔다하잖아요. 그것 때문에 미국 경제를 믿을 수 없다. 그리고 연준이 트럼프하고 각을 세우다 보니까 달러화 가치에 대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상당히 평가를 절하시키는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