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입니다.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도 그 의미를 되새기며 다양한 기념행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독립운동이 국제사회에 처음으로 목소리를 낸 프랑스 파리에서는 평화를 위한 여정을 조명하는 전시가 열렸습니다.
또 해방 이후 현대 한국 문학사를 소개하는 전시도 마련돼, 동포 사회는 물론 우리 역사를 처음 접한 현지 시민들에게도 큰 울림을 전했습니다.
정지윤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191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파리강화회의장에 한 통의 문서가 도착합니다.
대한민국의 독립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하는 독립 청원서였습니다.
이 기밀문서를 전달한 인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권대사인 김규식 박사.
106년 전, 김 박사는 낯선 대륙으로 건너와 조국을 되찾기 위한 평화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은 겁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 한국 독립운동의 중요한 무대였던 프랑스 파리에서 선조들의 여정을 조명하는 전시가 열렸습니다.
[예스민 베가 / 관람객 : 프랑스와 한국 사이에 이렇게 오래되고 중요한 외교적 역사가 있다는 걸 처음 접했습니다. 매우 놀라웠습니다. 독립을 위해 진정으로 투쟁한 남녀노소 모든 사람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시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파리대표부와 고려통신사의 프랑스 내 외교 활동은 물론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며 연대의 손길을 내민 '프랑스 한국친우회'의 주역을 소개하며 두 나라가 이어온 끈끈한 우정을 보여줬습니다.
[이진선 / 프랑스 동포 : (한국의 독립운동을) 프랑스에서 주목했던 사실과 두 나라의 관계가 체계적이었다는 것을 전시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됐어요.]
또 다른 전시 공간에서는 선조들이 그토록 염원했던 해방 이후의 삶을 '문학'으로 보여주는 전시도 열렸습니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부터 박완서의 소설 '엄마의 말뚝'까지.
현지 사회도 공감할 수 있도록 프랑스어 번역판 위주로 전시를 구성해 우리 민족이 되찾은 '말할 수 있는 힘'을 보여줬습니다.
[류혜인 / 공연예술 기획팀장 : 한국 작품을 통해서 한국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지만, 사실은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자유에 대한 열망과 동시에 치유를 같이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의 무대였던 프랑스 파리에 마련된 두 전시회.
기획전은 오는 12월 6일까지, 문학전은 내년 3월 28일까지 이어지며 현지 시민들과의 만남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YTN 월드 정지윤입니다.
YTN 정지윤 (bgy06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입니다.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도 그 의미를 되새기며 다양한 기념행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독립운동이 국제사회에 처음으로 목소리를 낸 프랑스 파리에서는 평화를 위한 여정을 조명하는 전시가 열렸습니다.
또 해방 이후 현대 한국 문학사를 소개하는 전시도 마련돼, 동포 사회는 물론 우리 역사를 처음 접한 현지 시민들에게도 큰 울림을 전했습니다.
정지윤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191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파리강화회의장에 한 통의 문서가 도착합니다.
대한민국의 독립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하는 독립 청원서였습니다.
이 기밀문서를 전달한 인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권대사인 김규식 박사.
106년 전, 김 박사는 낯선 대륙으로 건너와 조국을 되찾기 위한 평화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은 겁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 한국 독립운동의 중요한 무대였던 프랑스 파리에서 선조들의 여정을 조명하는 전시가 열렸습니다.
[예스민 베가 / 관람객 : 프랑스와 한국 사이에 이렇게 오래되고 중요한 외교적 역사가 있다는 걸 처음 접했습니다. 매우 놀라웠습니다. 독립을 위해 진정으로 투쟁한 남녀노소 모든 사람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시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파리대표부와 고려통신사의 프랑스 내 외교 활동은 물론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며 연대의 손길을 내민 '프랑스 한국친우회'의 주역을 소개하며 두 나라가 이어온 끈끈한 우정을 보여줬습니다.
[이진선 / 프랑스 동포 : (한국의 독립운동을) 프랑스에서 주목했던 사실과 두 나라의 관계가 체계적이었다는 것을 전시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됐어요.]
또 다른 전시 공간에서는 선조들이 그토록 염원했던 해방 이후의 삶을 '문학'으로 보여주는 전시도 열렸습니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부터 박완서의 소설 '엄마의 말뚝'까지.
현지 사회도 공감할 수 있도록 프랑스어 번역판 위주로 전시를 구성해 우리 민족이 되찾은 '말할 수 있는 힘'을 보여줬습니다.
[류혜인 / 공연예술 기획팀장 : 한국 작품을 통해서 한국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지만, 사실은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자유에 대한 열망과 동시에 치유를 같이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의 무대였던 프랑스 파리에 마련된 두 전시회.
기획전은 오는 12월 6일까지, 문학전은 내년 3월 28일까지 이어지며 현지 시민들과의 만남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YTN 월드 정지윤입니다.
YTN 정지윤 (bgy06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