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북한군 공병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교전을 벌였던 곳에서 지뢰를 제거하는 모습을 러시아 언론이 공개했습니다.
전쟁을 계기로 두 나라가 밀착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드론 생산에 북한 노동자 만2천 명을 파견해 외화벌이에 나선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무장을 마치고 힘차게 구호를 외치더니 인공기에 얼굴을 비비는 북한군들.
작업하러 가는 차 안에서는 김정은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릅니다.
[북한군들 노래 : 김정은 위대하신 영도자~.]
이들이 향한 곳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교전을 벌였던 쿠르스크 최전선입니다.
러시아군과 함께 지뢰를 제거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레즈니크 / 러시아군 지휘관 : 지뢰 제거 중 폭발물이 발견되어 폭파합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팀워크입니다.]
러시아 언론이 공개한 이 영상은 러시아군이 북한군을 교육하는 장면들 위주로 편집됐습니다.
회전 날로 지뢰를 제거하는 러시아의 최신 장비 활용법을 북한군이 습득했다는 자막도 달았습니다.
이번 파병은 지난 6월 평양에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 약속받은 후속 조치입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 크렘린궁 대변인 :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북한 친구들이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것을 매우 높이 평가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러시아에 만5천 명을 파병했고 2천 명이 사망했다고 우리 국정원은 파악했습니다.
러시아는 또, 자폭형 드론 생산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북한 노동자 만2천 명도 유치할 계획이라고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시간당 2.5달러를 받고 하루 12시간 이상 일하는 조건으로 알려졌는데 북한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상당한 수준의 외화벌이입니다.
외교적으로 고립된 북러 두 나라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전략적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푸틴의 평양 방문, 올해 베이징에서 북중러 정상의 만남에 이어 내년엔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 : 문지환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군 공병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교전을 벌였던 곳에서 지뢰를 제거하는 모습을 러시아 언론이 공개했습니다.
전쟁을 계기로 두 나라가 밀착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드론 생산에 북한 노동자 만2천 명을 파견해 외화벌이에 나선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무장을 마치고 힘차게 구호를 외치더니 인공기에 얼굴을 비비는 북한군들.
작업하러 가는 차 안에서는 김정은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릅니다.
[북한군들 노래 : 김정은 위대하신 영도자~.]
이들이 향한 곳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교전을 벌였던 쿠르스크 최전선입니다.
러시아군과 함께 지뢰를 제거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레즈니크 / 러시아군 지휘관 : 지뢰 제거 중 폭발물이 발견되어 폭파합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팀워크입니다.]
러시아 언론이 공개한 이 영상은 러시아군이 북한군을 교육하는 장면들 위주로 편집됐습니다.
회전 날로 지뢰를 제거하는 러시아의 최신 장비 활용법을 북한군이 습득했다는 자막도 달았습니다.
이번 파병은 지난 6월 평양에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 약속받은 후속 조치입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 크렘린궁 대변인 :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북한 친구들이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것을 매우 높이 평가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러시아에 만5천 명을 파병했고 2천 명이 사망했다고 우리 국정원은 파악했습니다.
러시아는 또, 자폭형 드론 생산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북한 노동자 만2천 명도 유치할 계획이라고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시간당 2.5달러를 받고 하루 12시간 이상 일하는 조건으로 알려졌는데 북한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상당한 수준의 외화벌이입니다.
외교적으로 고립된 북러 두 나라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전략적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푸틴의 평양 방문, 올해 베이징에서 북중러 정상의 만남에 이어 내년엔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 : 문지환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