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단계 무역합의…제대로 이행 안 돼
트럼프·시진핑 6년 만에 재회…무역 갈등 여전
5차 무역회담…희토류 무기화·100% 관세 서로 보류
애초 없던 관세폭탄 vs 보복조치…결국 "없던 일로"
트럼프·시진핑 6년 만에 재회…무역 갈등 여전
5차 무역회담…희토류 무기화·100% 관세 서로 보류
애초 없던 관세폭탄 vs 보복조치…결국 "없던 일로"
AD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늘(30일) 6년 만에 담판에 나섭니다.
관세전쟁의 마침표를 찍는 세기의 담판으로 이목이 쏠리지만 '빅딜' 성사는 어렵단 관측도 나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마주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촉발한 무역 전쟁을 잠시 멈추고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2019년) : 우린 양국에 기념비적이고 훌륭한 무언가를 할 수 있다고 말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내가 기대하는 바입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2019년) : 향후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을 정하고 협력과 안정을 기조로 한 중미 관계를 추진하길 바랍니다.]
이듬해 1월 1단계 무역합의가 이뤄졌지만, 트럼프의 낙선과 코로나19 대유행 등으로 흐지부지됐습니다.
이후 6년 4개월 만에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재회하는 두 정상.
앞서 매듭짓지 못한 무역 갈등이 여전히 주요 의제로 올라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하루 앞두고 중국에 매긴 20% '펜타닐 관세'를 낮출 뜻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관세를 10%p 깎아주는 대신 중국이 미국산 대두 구매를 재개하는 거래가 이뤄질 거란 전망입니다.
앞서 열린 5차 무역회담에선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1년 미루고, 미국은 100%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애초에 없던 관세 폭탄과 보복 조치를 잔뜩 펼쳐놓고 결국 서로 '없었던 일'로 치는 제로섬 협상이 되풀이되고 있는 겁니다.
[궈자쿤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양국 정상은 중미 관계의 전략적, 장기적 문제와 공동 관심사인 중대한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소통을 할 것입니다.]
트럼프가 한국을 떠나기 직전, 시진핑이 도착한 직후 스치듯 이뤄지는 회담 형식도 '세기의 담판'이란 말이 무색합니다.
트럼프 재집권 이후 전 세계로 확대한 관세전쟁의 마침표를 찍는 '빅딜'보단 미봉의 휴전상태를 유지하는 데 그칠 거란 관측이 나오는 이윱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늘(30일) 6년 만에 담판에 나섭니다.
관세전쟁의 마침표를 찍는 세기의 담판으로 이목이 쏠리지만 '빅딜' 성사는 어렵단 관측도 나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마주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촉발한 무역 전쟁을 잠시 멈추고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2019년) : 우린 양국에 기념비적이고 훌륭한 무언가를 할 수 있다고 말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내가 기대하는 바입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2019년) : 향후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을 정하고 협력과 안정을 기조로 한 중미 관계를 추진하길 바랍니다.]
이듬해 1월 1단계 무역합의가 이뤄졌지만, 트럼프의 낙선과 코로나19 대유행 등으로 흐지부지됐습니다.
이후 6년 4개월 만에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재회하는 두 정상.
앞서 매듭짓지 못한 무역 갈등이 여전히 주요 의제로 올라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하루 앞두고 중국에 매긴 20% '펜타닐 관세'를 낮출 뜻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관세를 10%p 깎아주는 대신 중국이 미국산 대두 구매를 재개하는 거래가 이뤄질 거란 전망입니다.
앞서 열린 5차 무역회담에선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1년 미루고, 미국은 100%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애초에 없던 관세 폭탄과 보복 조치를 잔뜩 펼쳐놓고 결국 서로 '없었던 일'로 치는 제로섬 협상이 되풀이되고 있는 겁니다.
[궈자쿤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양국 정상은 중미 관계의 전략적, 장기적 문제와 공동 관심사인 중대한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소통을 할 것입니다.]
트럼프가 한국을 떠나기 직전, 시진핑이 도착한 직후 스치듯 이뤄지는 회담 형식도 '세기의 담판'이란 말이 무색합니다.
트럼프 재집권 이후 전 세계로 확대한 관세전쟁의 마침표를 찍는 '빅딜'보단 미봉의 휴전상태를 유지하는 데 그칠 거란 관측이 나오는 이윱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