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자긍심 느끼길"...아르헨티나 한인 이민 60주년 기념 행사

"한민족 자긍심 느끼길"...아르헨티나 한인 이민 60주년 기념 행사

2025.10.06. 오전 04:5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올해는 아르헨티나에 한인 동포들이 이주한 지 60년이 된 해입니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선 이를 기념하기 위한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어린 시절 아르헨티나에 왔던 이민 1세대들도 자리를 함께해 의미를 더했습니다.

정덕주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낡은 사진 속 다양한 표정을 지은 사람들.

하지만 낯선 땅에서 시작하는 삶 앞에 긴장과 설렘은 모두 같았습니다.

알록달록 꽃무늬가 수 놓인 이불에는 동포 3세대의 성장과 역사가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한인 개개인의 삶이 모여 어느덧 60년의 이민사를 이뤘습니다.

이 모든 이야기를 한 데 담은 전시회가 아르헨티나 국립 동양 예술 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루시아 오스카노아 / 관람객 : 아주 좋습니다. 예전 한인들이 아사도(아르헨티나식 고기구이)를 먹었다는 걸 몰랐습니다. 한국 전통 음식만 먹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전시를 보고 놀랐습니다.]

지난 1965년, 대한민국 최초의 농업 이민으로 아르헨티나에 간 13가구,

농업으로 시작한 삶은 시간이 흐르며 의류산업으로 이어졌고, 어느덧 아르헨티나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재 아르헨티나에는 약 2만3천 명의 한인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뿌리 깊은 한인 이민사를 돌아보고, 다음 세대가 한민족 정체성과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됐습니다.

[임유찬 / 비영리단체 '한상' 임원: 참 60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저희 선조들이 오셔서 이 아르헨티나를 참 씨를 잘 뿌려주시고 자리를 잡아주신 덕분에 저희가 그나마 이 1.5세대로서 그분들의 발자취를 좇아서 좀 더 성장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현귀애 /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아르헨티나지회장 : 어른들이 이렇게 힘들게 고생하고 일궈놨기 때문에 우리가 이렇게 편하게 지금 자라고 있다는 것을 좀 깨달을 수 있는 그리고 또 더 발전하고 이제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그런 자신감을 찾을 수 있는 그런 공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개회식에서는 어린 시절 이 땅에 정착한 1세대 동포들에게 감사패가 전달되며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

[김혜련 / 아르헨티나 이민 1세대 : 아무리 이민 온 지 오래되고 해도 우리가 아직 한국 사람이니까 한국을 위해 더 기도하고 한국을 위해서도 더 열심히 사는 거를 바라요.]

[유용호 / 아르헨티나 이민 1세대 : 감사패를 받아서 회장님한테 감사하고요. 내가 이민 온 지 벌써 진짜 육십 년 되니까 세월이 다 지났어요.]

60년 전 낯선 땅에 내디딘 작은 발걸음은 이제 아르헨티나 사회 속에서 굳건한 뿌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전시회를 시작으로 아르헨티나 한인들은 정체성과 자긍심을 더욱 깊이 새기며 앞으로의 60년을 향한 여정을 이어갈 것입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YTN 월드 정덕주 입니다.



YTN 정덕주 (khj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