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최근 주요 7개국(G7) 소속 국가를 비롯해 많은 나라가 잇따라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이런 움직임은 이스라엘의 허가 없이는 사실상 접근조차 불가능한 팔레스타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이스라엘 국민과 팔레스타인 국민의 평화를 위해, 저는 오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함을 선언합니다.]
[룩 프리덴 / 룩셈부르크 총리: 저는 오늘부로 룩셈부르크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함을 엄숙히 선언합니다.]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받아들인 나라가 150개를 넘어섰습니다.
유엔 회원국 3/4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이 가자지구 분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이스라엘은 오히려 서안지구를 합병하겠다며 공세를 강화했습니다.
[살라 알-하와자 / 정치분석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민족의 국가 건설 꿈을 완전히 말살하려는 소멸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팔레스타인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국경이 없습니다.
물론 수도와 군대도 없습니다.
이스라엘이 허가하지 않으면 왕래도 불가능해 서방 국가들이 외교 공관을 세울 수도 없습니다.
다른 나라와의 양자 관계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반대하고 있어 유엔 정회원국이 될 가능성도 낮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글쎄요, 저는 그건 하마스를 존중하는 행위라고 생각해요. 10월 7일 (하마스 공격) 사건 때문에 그런 건 절대 안 됩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독립 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에 힘이 실릴 수는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서방이 이스라엘 관계를 재검토하고 경제적 불이익을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빅터 J. 윌리 / 스위스 중동연구소장: 앞으로 10년, 20년 후, 미래의 역사가들이 돌아보며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죠. 그래, 이 사건이 결국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으로 이어진 그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우리나라는 두 국가 해법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나간다는 입장입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주요 7개국(G7) 소속 국가를 비롯해 많은 나라가 잇따라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이런 움직임은 이스라엘의 허가 없이는 사실상 접근조차 불가능한 팔레스타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이스라엘 국민과 팔레스타인 국민의 평화를 위해, 저는 오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함을 선언합니다.]
[룩 프리덴 / 룩셈부르크 총리: 저는 오늘부로 룩셈부르크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함을 엄숙히 선언합니다.]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받아들인 나라가 150개를 넘어섰습니다.
유엔 회원국 3/4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이 가자지구 분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이스라엘은 오히려 서안지구를 합병하겠다며 공세를 강화했습니다.
[살라 알-하와자 / 정치분석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민족의 국가 건설 꿈을 완전히 말살하려는 소멸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팔레스타인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국경이 없습니다.
물론 수도와 군대도 없습니다.
이스라엘이 허가하지 않으면 왕래도 불가능해 서방 국가들이 외교 공관을 세울 수도 없습니다.
다른 나라와의 양자 관계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반대하고 있어 유엔 정회원국이 될 가능성도 낮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글쎄요, 저는 그건 하마스를 존중하는 행위라고 생각해요. 10월 7일 (하마스 공격) 사건 때문에 그런 건 절대 안 됩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독립 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에 힘이 실릴 수는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서방이 이스라엘 관계를 재검토하고 경제적 불이익을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빅터 J. 윌리 / 스위스 중동연구소장: 앞으로 10년, 20년 후, 미래의 역사가들이 돌아보며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죠. 그래, 이 사건이 결국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으로 이어진 그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우리나라는 두 국가 해법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나간다는 입장입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