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동 질서를 재편하려는 '아브라함 협정'이 2기 들어서 진전을 보지 못하자 아랍권 밖으로 눈을 돌려 무슬림 국가인 아제르바이잔 등을 추가하는 방안을 타진 중입니다.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아제르바이잔의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몇 달 혹은 몇 주 안에 관련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아제르바이잔이 이웃 나라인 아르메니아와 벌이고 있는 무력분쟁을 종결하고 평화협정을 체결해야만 '아브라함 협정'에 포함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아브라함 협정'은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도록 미국이 중재한 일련의 협정을 가리킵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 1기 임기 때인 2020∼2021년에 미국 중재로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수단 등 4개국이 이스라엘과 수교에 합의했습니다.
다만 수단은 협정문 서명은 했으나 비준 등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이스라엘과 공식 수교는 아직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른 아랍 국가들을 '아브라함 협정'에 추가로 포함시키려고 노력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탓에 이들 국가의 이스라엘 수교를 유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점령과 공격으로 가자 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 사망자가 계속 급증하고 기아 사태도 발생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아랍권의 분노가 치솟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요 중동 아랍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하는 조치에 나서지 않는 한 이스라엘을 외교적으로 승인할 수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거듭해서 밝혀왔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이나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은 기존의 '아브라함 협정' 대상 국가들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무슬림이 다수인 국가이긴 하지만 '아랍 국가'는 아니며, 옛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1992년부터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맺어 계속 유지해왔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아브라함 협정'의 범위를 확대해 아제르바이잔과 일부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포함시키려고 하는 것은 실질적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 무역이나 군사 협력 등 분야의 교류를 강화토록 유도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습니다.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대통령 중동 특사는 올해 3월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로 가서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이어 올해 봄에 위트코프의 핵심 측근인 아리예 라이트스톤이 알리예프 대통령을 만나 아브라함 협정에 관한 논의를 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 논의의 일환으로 아제르바이잔 정부 관계자들은 이웃 카자흐스탄을 포함해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접촉해 '확대된 아브라함 협정' 참여에 관심이 있는지도 파악했습니다.
다만 카자흐스탄 외에 접촉 대상이 된 중앙아시아 국가의 구체적 국명이나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미 국무부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대해 구체적 나라들을 거명하지는 않았으나 아브라함 협정을 확대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목표 중 하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더 많은 나라가 아브라함 협정에 합류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아제르바이잔의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몇 달 혹은 몇 주 안에 관련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아제르바이잔이 이웃 나라인 아르메니아와 벌이고 있는 무력분쟁을 종결하고 평화협정을 체결해야만 '아브라함 협정'에 포함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아브라함 협정'은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도록 미국이 중재한 일련의 협정을 가리킵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 1기 임기 때인 2020∼2021년에 미국 중재로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수단 등 4개국이 이스라엘과 수교에 합의했습니다.
다만 수단은 협정문 서명은 했으나 비준 등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이스라엘과 공식 수교는 아직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른 아랍 국가들을 '아브라함 협정'에 추가로 포함시키려고 노력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탓에 이들 국가의 이스라엘 수교를 유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점령과 공격으로 가자 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 사망자가 계속 급증하고 기아 사태도 발생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아랍권의 분노가 치솟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요 중동 아랍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하는 조치에 나서지 않는 한 이스라엘을 외교적으로 승인할 수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거듭해서 밝혀왔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이나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은 기존의 '아브라함 협정' 대상 국가들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무슬림이 다수인 국가이긴 하지만 '아랍 국가'는 아니며, 옛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1992년부터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맺어 계속 유지해왔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아브라함 협정'의 범위를 확대해 아제르바이잔과 일부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포함시키려고 하는 것은 실질적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 무역이나 군사 협력 등 분야의 교류를 강화토록 유도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습니다.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대통령 중동 특사는 올해 3월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로 가서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이어 올해 봄에 위트코프의 핵심 측근인 아리예 라이트스톤이 알리예프 대통령을 만나 아브라함 협정에 관한 논의를 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 논의의 일환으로 아제르바이잔 정부 관계자들은 이웃 카자흐스탄을 포함해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접촉해 '확대된 아브라함 협정' 참여에 관심이 있는지도 파악했습니다.
다만 카자흐스탄 외에 접촉 대상이 된 중앙아시아 국가의 구체적 국명이나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미 국무부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대해 구체적 나라들을 거명하지는 않았으나 아브라함 협정을 확대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목표 중 하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더 많은 나라가 아브라함 협정에 합류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