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다카타가 제작한 에어백 모듈 ⓒ 연합뉴스
AD
프랑스에서 일본 자동차 부품업체 다카타가 제조한 에어백이 폭발해 30대 여성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7일(현지 시각)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11일 프랑스 동부 랭스에서 발생했다.
피해자는 고속도로 주행 중 대형 트럭을 피하려다 차량이 가드레일을 들이받았고, 충돌 직후 다카타 에어백이 폭발하면서 금속 파편이 튀어 치명적인 상해를 입었다. 구조대가 도착했을 당시 운전자는 이미 얼굴에 심한 부상을 입고 숨진 상태였다.
부검 결과 에어백 폭발로 튄 금속 조각이 피해자의 후두부에서 발견됐고, 검찰은 에어백 폭발에 의한 얼굴과 턱 부위의 손상을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 판단했다.
사망자는 2014년식 시트로엥 C3 차량을 운전하고 있었는데, 해당 차량은 다카타 에어백 장착 차량 중 리콜 대상에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피해자는 제조사로부터 리콜 통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에서 다카타 에어백과 관련한 사망 사고는 이번이 19번째로, 17건은 해외령에서 발생했다.
문제의 에어백은 다카타가 2017년 파산 전까지 생산한 제품으로, 충격 시 가스를 분출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캡슐이 장착돼 있다. 하지만 이 캡슐이 과도한 압력으로 폭발할 경우 금속 파편이 차량 내부로 튀는 결함이 발견돼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리콜과 집단 소송이 이어졌다. 이러한 결함으로 다카타 에어백은 '살인 에어백'이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프랑스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서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운행 중단을 명령했다.
필리프 타바로 교통 장관은 AFP통신에 "시트로엥 경영진을 소환해 리콜 대상인 모든 C3와 DS3 차량의 운전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등록된 차량이다.
시트로엥의 모회사인 스텔란티스에 따르면 문제가 된 에어백이 장착된 시트로엥 C3 및 DS3 차량은 총 69만 대 이상이며, 이 가운데 약 69.7%인 48만 1,000대가 현재까지 수리를 받았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7일(현지 시각)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11일 프랑스 동부 랭스에서 발생했다.
피해자는 고속도로 주행 중 대형 트럭을 피하려다 차량이 가드레일을 들이받았고, 충돌 직후 다카타 에어백이 폭발하면서 금속 파편이 튀어 치명적인 상해를 입었다. 구조대가 도착했을 당시 운전자는 이미 얼굴에 심한 부상을 입고 숨진 상태였다.
부검 결과 에어백 폭발로 튄 금속 조각이 피해자의 후두부에서 발견됐고, 검찰은 에어백 폭발에 의한 얼굴과 턱 부위의 손상을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 판단했다.
사망자는 2014년식 시트로엥 C3 차량을 운전하고 있었는데, 해당 차량은 다카타 에어백 장착 차량 중 리콜 대상에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피해자는 제조사로부터 리콜 통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에서 다카타 에어백과 관련한 사망 사고는 이번이 19번째로, 17건은 해외령에서 발생했다.
문제의 에어백은 다카타가 2017년 파산 전까지 생산한 제품으로, 충격 시 가스를 분출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캡슐이 장착돼 있다. 하지만 이 캡슐이 과도한 압력으로 폭발할 경우 금속 파편이 차량 내부로 튀는 결함이 발견돼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리콜과 집단 소송이 이어졌다. 이러한 결함으로 다카타 에어백은 '살인 에어백'이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프랑스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서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운행 중단을 명령했다.
필리프 타바로 교통 장관은 AFP통신에 "시트로엥 경영진을 소환해 리콜 대상인 모든 C3와 DS3 차량의 운전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등록된 차량이다.
시트로엥의 모회사인 스텔란티스에 따르면 문제가 된 에어백이 장착된 시트로엥 C3 및 DS3 차량은 총 69만 대 이상이며, 이 가운데 약 69.7%인 48만 1,000대가 현재까지 수리를 받았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