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범인들이 이미 핵심 장비는 물론 범죄 수익 대부분을 중국으로 빼돌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붙잡은 중국교포 두 명을 구속 송치하고 모든 실마리를 쥔 이른바 '윗선' 추적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모자와 마스크를 쓴 남성이 차량 뒷좌석에 놓인 전자 기기를 작동합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 중국 교포 장 모 씨가 범행에 쓴 불법 초소형 기지국 장비를 직접 시연하는 모습입니다.
장 씨는 지난 7월 장비를 넘겨받아 지난달 5일부터 한 달 동안 차량에 싣고 피해 지역을 오가며 범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장 씨는 지시에 따라 장비를 작동시켰을 뿐 어떤 일을 하는지는 정확히 몰랐다고 주장하는데, 경찰은 중국에 있는 '윗선'이 장비를 원격제어해 피해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했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지난 16일 피의자들을 검거하면서 범행에 쓰인 네트워크 장비와 부품 27개를 확보했습니다.
보따리상을 통해 중국으로 빼돌리기 직전 가로채는 데 성공한 겁니다.
경찰은 이 초소형 기지국 장비가 해외에서 만들어져 국내로 반입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법 해킹프로그램이 담긴 노트북과 연락 수단으로 쓰인 대포폰 등 또 다른 핵심 증거들은 이미 중국에 반출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부정 결제로 얻은 2억 원 상당의 상품권도 붙잡힌 인출책 류 모 씨를 통해 현금화한 뒤 세탁작업을 거쳐 대부분 중국으로 송금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윗선의 정체는 여전히 안갯속으로 경찰은 우선 붙잡은 장 씨와 류 씨를 구속 송치하고 사라진 몸통을 계속 추적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런 가운데 KT의 부실 대응 문제는 계속 불거지고 있습니다.
경기 광명경찰서에서 지난 1일 처음으로 KT 광명지사에 아파트에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고 알렸지만, 다른 지사나 본사로 전화를 넘기며 대응이 늦어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국, 경찰 수사관이 KT 측과 7차례 연락하거나 찾아간 뒤에야 본사에서 사태 파악에 나섰고 그사이 21시간이 흐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KT 서버에 대한 해킹 흔적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서는 경찰청이 내사를 이어가며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YTN 정현우입니다.
영상편집 : 임종문
디자인;김진호
화면제공 : 경기남부경찰청
YTN 정현우 (junghw504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범인들이 이미 핵심 장비는 물론 범죄 수익 대부분을 중국으로 빼돌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붙잡은 중국교포 두 명을 구속 송치하고 모든 실마리를 쥔 이른바 '윗선' 추적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모자와 마스크를 쓴 남성이 차량 뒷좌석에 놓인 전자 기기를 작동합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 중국 교포 장 모 씨가 범행에 쓴 불법 초소형 기지국 장비를 직접 시연하는 모습입니다.
장 씨는 지난 7월 장비를 넘겨받아 지난달 5일부터 한 달 동안 차량에 싣고 피해 지역을 오가며 범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장 씨는 지시에 따라 장비를 작동시켰을 뿐 어떤 일을 하는지는 정확히 몰랐다고 주장하는데, 경찰은 중국에 있는 '윗선'이 장비를 원격제어해 피해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했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지난 16일 피의자들을 검거하면서 범행에 쓰인 네트워크 장비와 부품 27개를 확보했습니다.
보따리상을 통해 중국으로 빼돌리기 직전 가로채는 데 성공한 겁니다.
경찰은 이 초소형 기지국 장비가 해외에서 만들어져 국내로 반입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법 해킹프로그램이 담긴 노트북과 연락 수단으로 쓰인 대포폰 등 또 다른 핵심 증거들은 이미 중국에 반출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부정 결제로 얻은 2억 원 상당의 상품권도 붙잡힌 인출책 류 모 씨를 통해 현금화한 뒤 세탁작업을 거쳐 대부분 중국으로 송금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윗선의 정체는 여전히 안갯속으로 경찰은 우선 붙잡은 장 씨와 류 씨를 구속 송치하고 사라진 몸통을 계속 추적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런 가운데 KT의 부실 대응 문제는 계속 불거지고 있습니다.
경기 광명경찰서에서 지난 1일 처음으로 KT 광명지사에 아파트에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고 알렸지만, 다른 지사나 본사로 전화를 넘기며 대응이 늦어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국, 경찰 수사관이 KT 측과 7차례 연락하거나 찾아간 뒤에야 본사에서 사태 파악에 나섰고 그사이 21시간이 흐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KT 서버에 대한 해킹 흔적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서는 경찰청이 내사를 이어가며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YTN 정현우입니다.
영상편집 : 임종문
디자인;김진호
화면제공 : 경기남부경찰청
YTN 정현우 (junghw504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