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경제] 자산 줄고 부채 늘었다...청년·저소득층 큰 타격

[굿모닝경제] 자산 줄고 부채 늘었다...청년·저소득층 큰 타격

2023.12.08. 오전 07:2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임성호 앵커, 김정진 앵커
■ 출연 : 주원 경제연구실장 현대경제연구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오늘 굿모닝경제는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주원]
안녕하십니까?

[앵커]
실장님, 오늘 우리나라 가계 자산 이야기부터 해 보겠습니다. 2012년부터 조사를 해오고 있다고 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주원]
계속 가계 자산은 늘 수밖에 없고요. 왜냐하면 우리 GDP라든가 이런 것들이 점점 늘어나잖아요. 그래서 일종의 경제 지표이기 때문에 늘어나는 게 정상인데 2023년 3월 말 기준으로 이번에 조사 통계가 발표가 됐고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00만 원 정도, 그러니까 1년 전에 비해서 3.7%, 금액으로 한 2000만 원 정도 감소를 했습니다. 다만 보고 계신 분들이 못 느끼시는 평균적으로 5억의 자산을 갖고 있다? 그렇지 않으신 분들이 더 많거든요. 그러니까 이건 평균이라는 얘기입니다. 그것을 생각해 주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평균자산이 감소했다라고 통계가 나왔는데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39세 이하 자산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게 지금 눈에 띄는데요. 아무래도 청년층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고 이해를 해야 될까요?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요?

[주원]
우리가 자산이 축적되는 경로를 한번 생각해 보면 우리가 일을 하든 사업을 하든 소득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소득이 어떻게 보면 지출보다는 많아져서 나머지 부분이 예금을 하든가 땅을 사든가 이렇게 자산으로 축적되는데 2023년 3월 말 기준의 자산이라는 건 2022년의 소득 활동, 소득 소비지출 활동의 결과인 건데 그때 고용시장이 나쁘지는 않았어요. 계속 증가하기는 했었는데 증가한 연령층을 보면 50세 이상, 60세 이상이 대부분입니다. 사실 그 밑의 연령층은 고용시장이 그렇게 좋지 않았거든요. 그러니까 2022년에 안 좋았던 경기 상황, 고용 시장의 상황이 결국은 자산 쪽으로 들어간 거고요. 우리 자산이 처음으로 감소했던 가장 큰 이유는 전 연령층을 떠나서 우리 가구 자산의 비중을 보면 금융자산이 한 24%, 실물자산이 76% 정도 되거든요. 실물에는 대부분은 아니겠지만 금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부동산입니다. 부동산 쪽에 가격이 많이 주춤거렸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의 영향을 받아서 전반적인 자산 규모가 축소된 것 같습니다.

[앵커]
분배지표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가 조사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하는데 세부적으로 어떻게 되어 있는지 설명해 주시죠.

[주원]
일단 지니계수, 우리가 상식적으로 많이 듣던 용어인데 도대체 저게 무슨 의미인가. 지금 0.324라고 나오는데요. 0이면 완전히 평등한 거고, 1이면 완전히 불평등하다는 건데 우리가 10명이 똑같이 소득이 100만 원, 100만 원, 100만 원10명이 똑같다 그러면 0입니다. 그런데 앞에 9명이 소득이 없고 맨 마지막 10번째가 소득이 1000만 원이다 그러면 1입니다. 그러니까 저 값이 0.3 정도 된다는 건 국제적인 비교를 해보면 선진국들이 저 정도 나오고요. 우리가 아주 특별히 높은 것은 아닌데 그런데 유럽 쪽은 저거보다 낮습니다. 특히 북유럽 쪽 같은 경우는 0.278 정도, 27이나 28정도 나오거든요. 그래서 우리나라가 유럽의 일종의 복지국가들, 북유럽 쪽의 국가들보다는 지니계수는 높은 편이기는 한데 이번에 지니계수는 우리가 2011년부터 집계를 했는데요. 그때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고 지니계수가 낮아졌다는 것이 꼭 경기 상황하고 연관지어서 생각하기는 어려운 것 같아요. 그러니까 지니계수가 낮아지는 건 여러 가지 요인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지니계수는 우리가 소득자료거든요. 그러니까 이번에 아까 말씀드렸던 자산은 2023년 3월 말 기준으로 발표했지만 이 소득은 2022년 기준으로 발표를 했고요. 그때까지만 해도 정부의 복지정책이랄까 이런 것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그런 것들이 감안이 되면 지니계수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아무튼 전반적으로는 감소를 했는데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는 오히려 이번에 0.383으로 2021년에 0.378보다 올랐습니다. 그러니까 소득이 없던 연령층의 분배지표는 상당히 나빠졌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소득에 관련된 이야기를 좀 해 주셨는데 가구 평균 부채 이야기도 해보겠습니다. 9186만 원으로 1억 원 턱밑에서 수치가 나왔는데 특히 주목할 점이 가장 저소득층이라고 볼 수 있는 소득 1분위 부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금 저희가 띄워드리고 있는데 22.7%가 증가했습니다. 아무래도 소득 1분위 평균 부채가 지난해에 비해서 22.7% 올랐다.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한 거거든요. 어떻게 봐야 됩니까?

[주원]
이것은 경기 상황과 연관지어서 생각을 해야 될 것 같아요. 특히 저소득층 같은 경우에는 일단 소득 벌이가 상당히 경기가 나쁘면 나빠지고 그리고 지금 우리 경기 침체기에서 가장 특징이 보통의 경기침체기에서는 금리도 같이 떨어지면서 취약계층이 버틸 수 있는 룸을 주는데 지금은 금리가 오히려 올라갔던 상황이잖아요. 2022년을 보면. 그렇다면 우리 저소득층이 사실 생계비 지출도 많고 또 물가도 높고 이러다 보니까 쓸 돈은 많아지는 거죠. 또 이자도 많이 내야 되고. 그런 상황으로 저소득층의 지표가 많이 악화된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앵커]
아까도 잠깐 설명을 해 주셨는데 자산 같은 경우는 GDP 성장에 따라서 조금씩 조금씩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향후 경기 전망을 고려해서 내년도 자산 동향은 어떻게 될까요?

[주원]
일단 내년도 경제성장률은 대부분의 기관이올해는 한 1.2에서 1.4% 정도 성장률을 보고 있는데 내년은 그것보다는 2배 정도, 2.1에서 2.3 이 정도 구간을 보고 있거든요. 경제성장률은 분명히 높아지는데 성장률이 높아진다는 조건이라면 우리 자산이나 부채 쪽에서 개선되는, 소득도 개선되는, 그런 움직임이 나와야 되는데 문제가 지금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많잖아요. 그런데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금의 고금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즉 부채가 많은 가구들은 이자비용을 더 내야 된다는 거거든요. 그런 걸 생각해 볼 때 어떤 쪽에 영향이 더 큰가. 하나는 소득을 늘리는 요건이고, 성장률은. 그다음에 금리 여건은 소득이나 자산을 줄이는 요건인데 지금으로서는 경제성장률의 플러스 효과가 조금 더 있을 것 같아서 2023년 3월 말 기준으로 자산은 내려갔지만 내년도 3월 말 기준으로는 어떻게 될지 봐야 될 것 같지만 내년도 3월 말은 올해 경제 상황의 영향을 받잖아요, 사실은. 그렇다 보면 자산 규모가 다시 한 번 축소될 가능성도 있기는 합니다.

[앵커]
다음은 부동산 소식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반년 만에 꺾였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매수심리가 위축된 이유, 어떻게 봐야 될까요?

[주원]
여전히 높은 금리죠. 그리고 우리가 부동산에서 주간 아파트 동향을 보면 지방 쪽이 먼저 빠졌고요, 한 1~2주 전부터. 그리고 이번에 처음으로 서울이 빠졌는데. 금리가 워낙 높다 보니까 시장의 신규 수요가 막히는 그런 모습이고 더구나 금리가 높다는 것은 시장 수요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고 시장 공급 쪽, 그러니까 아파트를 짓는 쪽에서도 영향을 받는데, 왜냐하면 아파트라는 대규모 주택단지를 우리가 건설하려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고, 그게 시행사나 시공사가 자체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자금이 아니거든요. 금리가 높다면 그 자금을 얻기가 상당히 어려운 거죠. 그런 높은 금리를 조달해서 주택을 짓기도 어려운 것이고 공급도 좀 달리고. 그러다 보니까 거래 물량이랄까.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런 것이 반영이 되면서 아파트 가격은 당분간은 조정을 받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앵커]
실장님, 해외 상황도 여쭙겠습니다. 국제유가가 전날 70달러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서 오늘도 비슷하게 갔는데 이렇게 유가 흐름이 이어지는 배경을 짚어주시겠습니까?

[주원]
일단 소비 쪽에서 보면 그러니까 전 세계의 원유소비량을 100%로 봤을 때 미국이 19.7%고 중국이 14.7%입니다. 1등, 2등이거든요. 그런데 중국 쪽의 최근의 경제 상황은 많이 언급이 됐지만 상당히 안 좋습니다. 그러니까 중국의 경제 상황이 안 좋다는 건 중국이 시장 수요가 생각보다는 상당히 침체될 가능성, 원유에 대한. 최근에 OPEC도 그런 점을 우려해서 유가가 떨어질 압력이 상당히 높다고 보고, 중국 때문에. 감산을 했는데 감산이 사실 강제력이 없는 감산이었어요. 그러니까 자발적으로 해라. 실제로 원유 생산 쪽에서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는데 1등은 미국입니다. 그다음에 2등이 사우디고 3등이 러시아인데 이 사우디하고 러시아가 지금 감산할 처지가 아니에요. 감산에 자발적으로 합의는 했지만. 왜냐하면 사우디는 여러 가지 국책사업이 크잖아요. 그런 돈이 필요하고. 러시아는 더 필요합니다. 전쟁을 하고 있고. 그렇다면 감산할 처지가 아니다. 그러면 공급 쪽에서도 감산이 제대로 안 되는데 중국 경제가 경기 침체로 인해서 원유 수요가 상당히 위축될 가능성, 이런 것 때문에 국제유가가 한 달 만에 거의 80달러 선에서 70달러 밑으로 떨어졌죠. 그러니까 이런 약세가 당분간은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앵커]
그러면 실장님, 중국 경제는 앞으로 어떻게 보세요?

[주원]
이번에 중국 수출이, 그러니까 중국에서 세계 시장에 대한 수출이죠. 우리나라에서 중국이 아니고. 플러스가 나왔어요.
다행히 몇 개월 동안 마이너스가 나오다가. 그런데 우리가 주목할 점은 중국 수출이 플러스가 나왔다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수입은 마이너스가 나왔거든요. 사실 이게 포인트입니다. 그러니까 수입이라는 것은 중국의 내수시장을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그런 지표인데 중국 경제가 여전히 안 좋다. 그리고 중국 수출이 늘었던 건 연말에 주요 선진국들이 세일 행사들이 있잖아요. 그런 것 때문에 중국 제품이 많이 필요했던 거고. 그리고 일시적일 가능성. 그리고 여전히 중국은 물가가 마이너스가 나오고 있는 디플레이션입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이 기준금리를 계속 내렸음에도. 만약에 우리나라가 중국 인민은행이 내렸던 금리인하 속도로 금리를 내렸더라면 아마 우리는 물가상승률이 10% 넘게 나왔을 겁니다. 그런데도 물가가 마이너스가 났다는 건 소비하고 투자가 안 되고 있다는 거거든요. 그래서 중국 경제는 물론 일부에서 얘기하는 중국 경제가 경제위기에 빠진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상당 기간은 바닥을 다지고 회복은 좀 멀리 있다고 보고, 그런 바닥을 다지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굿모닝 경제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주원 실장님과 함께했습니다. 실장님,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 YTN 서울투어마라톤 (2024년 10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