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 : 연합뉴스
AD
대통령실이 청와대 복귀를 추진하면서, 현재 용산 대통령실 자리를 청사로 쓰던 국방부도 이사 준비에 나섰습니다.
국방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대통령실의 청와대 복귀에 따라 국방부·합동참모본부 청사 재배치가 필요하다며 238억 6천만 원가량 증액이 필요하단 의견을 국회에 냈습니다.
세부 명목은 PC와 회의실 영상장비 등 네트워크 구축 비용 133억 원과 시설보수비 65억 원, 화물이사비 40억 원 등으로 현재 예산안은 국회 국방위원회 의결을 거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2003년부터 현재 대통령 집무실로 쓰이는 용산 10층짜리 건물을 청사로 쓰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2022년 5월 바로 옆에 있는 합참 청사로 옮겨 한 건물을 쓰고 있습니다.
이에 일부 부서와 국방부 직속 부대는 공간이 부족해 영내·외에 분산 배치된 상태로, 국방부는 대통령실이 청와대로 복귀하고 나면 예전 상태로 청사 배치를 되돌린다는 계획입니다.
YTN 나혜인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방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대통령실의 청와대 복귀에 따라 국방부·합동참모본부 청사 재배치가 필요하다며 238억 6천만 원가량 증액이 필요하단 의견을 국회에 냈습니다.
세부 명목은 PC와 회의실 영상장비 등 네트워크 구축 비용 133억 원과 시설보수비 65억 원, 화물이사비 40억 원 등으로 현재 예산안은 국회 국방위원회 의결을 거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2003년부터 현재 대통령 집무실로 쓰이는 용산 10층짜리 건물을 청사로 쓰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2022년 5월 바로 옆에 있는 합참 청사로 옮겨 한 건물을 쓰고 있습니다.
이에 일부 부서와 국방부 직속 부대는 공간이 부족해 영내·외에 분산 배치된 상태로, 국방부는 대통령실이 청와대로 복귀하고 나면 예전 상태로 청사 배치를 되돌린다는 계획입니다.
YTN 나혜인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