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일주일 넘게 이어진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가 변곡점을 맞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른 아침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몸통은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규탄집회를 열었지만, 민주당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G20 순방 기간, 정상외교에 힘을 싣기로 한 모습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먼저, 민주당 분위기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민주당 투톱,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는 오늘 아침 G20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을 서울공항에서 배웅했습니다.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이어 또 한 차례 굵직한 정상외교에 나서는 이 대통령을 당 지도부가 나서 적극 뒷받침하는 모습인데요, 배웅 뒤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다시금 추켜세우며, 이번 7박 10일 순방 성과도 기대했습니다.
정청래 대표의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외교 지평을 넓히고 있습니다. 참 자랑스럽습니다. 이번 일정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기를 바라며 민주당도 든든히 뒷받침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지도부의 이 같은 모습은, 이 대통령의 순방을 부각하며 정쟁이 자칫 외교 성과를 가리는 걸 차단하기 위한 선제조치로 보입니다.
앞서 유엔총회 때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가 열렸고, APEC 때는 재판중지법 논란 등으로 대통령 성과가 묻혔는데, 이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동시에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에 일일이 대응하는 게, 정무적으로 유리한 건지, 숨 고르기에 나섰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실제 박지원 의원은 오늘 SNS에 대장동 문제를 당이 자꾸 설명하면 반대급부로 국민의힘의 논리가 확대된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사법부에서 독립적으로 판결했고, 친윤 검찰이 항소 포기를 결정한 것일 뿐이라며, 근거 없는 딴지 걸기에 간결한 답변만 해야지 말려들지 말자고 촉구했습니다.
[앵커]
반면, 국민의힘은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한 공세에 집중하고 있죠.
[기자]
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아침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규탄대회를 열었습니다.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의 몸통은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즉각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장동혁 대표는 이 대통령이 대통령이 돼 대한민국 전체가 범죄자들의 놀이터가 됐다고 맹공에 나섰습니다.
특히 최근 대장동 민간업자인 남욱 변호사 측이 검찰에 수백억 원대 동결 재산을 해제해달라고 요청한 점을 정조준했습니다.
장 대표는 이를 '황당 요구'로 규정하고, 마치 두목 믿고 날뛰는 조폭을 보는 것 같다며 이 대통령을 겨냥했습니다.
또 민주당이 이에 발맞춰 배임죄 폐지에도 속도를 낸다며 결국 모든 건 '이 대통령 죄 없애기'로 귀결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대표 : 7천8백억을 범죄자들의 뱃속에 집어넣고,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1호기를 타고 해외로 '먹튀'하겠다고 합니다.]
국민의힘은 이번 주 내내 이 같은 장외 투쟁 카드를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결국,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한 사태 전반을 규명할 국정조사로 시선이 쏠리고 있죠.
[기자]
네, 여야 원내 지도부는 오늘 오후 다시 한 번 만나 국정조사 방식 등을 조율합니다.
현재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차원에서 국정조사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국민의힘은 별도 특별위원회를 꾸리자는 입장인데요, 국민의힘이 특위 구성과 함께 '5대 5 여야 동수 위원' 등을 요구하고 있어, 민주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맞서는 거로 파악됐습니다.
여야의 합의를 낙관할 수는 없는 분위기입니다.
오늘부터 국회에서는 728조 원 규모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세부 심의를 시작합니다, 증액과 감액을 하는 절차인데요.
예산안 조정소위원회에서는, 대통령실 특수활동비 등 쟁점 예산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일 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임성재입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주일 넘게 이어진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가 변곡점을 맞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른 아침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몸통은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규탄집회를 열었지만, 민주당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G20 순방 기간, 정상외교에 힘을 싣기로 한 모습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먼저, 민주당 분위기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민주당 투톱,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는 오늘 아침 G20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을 서울공항에서 배웅했습니다.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이어 또 한 차례 굵직한 정상외교에 나서는 이 대통령을 당 지도부가 나서 적극 뒷받침하는 모습인데요, 배웅 뒤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다시금 추켜세우며, 이번 7박 10일 순방 성과도 기대했습니다.
정청래 대표의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외교 지평을 넓히고 있습니다. 참 자랑스럽습니다. 이번 일정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기를 바라며 민주당도 든든히 뒷받침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지도부의 이 같은 모습은, 이 대통령의 순방을 부각하며 정쟁이 자칫 외교 성과를 가리는 걸 차단하기 위한 선제조치로 보입니다.
앞서 유엔총회 때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가 열렸고, APEC 때는 재판중지법 논란 등으로 대통령 성과가 묻혔는데, 이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동시에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에 일일이 대응하는 게, 정무적으로 유리한 건지, 숨 고르기에 나섰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실제 박지원 의원은 오늘 SNS에 대장동 문제를 당이 자꾸 설명하면 반대급부로 국민의힘의 논리가 확대된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사법부에서 독립적으로 판결했고, 친윤 검찰이 항소 포기를 결정한 것일 뿐이라며, 근거 없는 딴지 걸기에 간결한 답변만 해야지 말려들지 말자고 촉구했습니다.
[앵커]
반면, 국민의힘은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한 공세에 집중하고 있죠.
[기자]
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아침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규탄대회를 열었습니다.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의 몸통은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즉각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장동혁 대표는 이 대통령이 대통령이 돼 대한민국 전체가 범죄자들의 놀이터가 됐다고 맹공에 나섰습니다.
특히 최근 대장동 민간업자인 남욱 변호사 측이 검찰에 수백억 원대 동결 재산을 해제해달라고 요청한 점을 정조준했습니다.
장 대표는 이를 '황당 요구'로 규정하고, 마치 두목 믿고 날뛰는 조폭을 보는 것 같다며 이 대통령을 겨냥했습니다.
또 민주당이 이에 발맞춰 배임죄 폐지에도 속도를 낸다며 결국 모든 건 '이 대통령 죄 없애기'로 귀결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대표 : 7천8백억을 범죄자들의 뱃속에 집어넣고,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1호기를 타고 해외로 '먹튀'하겠다고 합니다.]
국민의힘은 이번 주 내내 이 같은 장외 투쟁 카드를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결국,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한 사태 전반을 규명할 국정조사로 시선이 쏠리고 있죠.
[기자]
네, 여야 원내 지도부는 오늘 오후 다시 한 번 만나 국정조사 방식 등을 조율합니다.
현재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차원에서 국정조사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국민의힘은 별도 특별위원회를 꾸리자는 입장인데요, 국민의힘이 특위 구성과 함께 '5대 5 여야 동수 위원' 등을 요구하고 있어, 민주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맞서는 거로 파악됐습니다.
여야의 합의를 낙관할 수는 없는 분위기입니다.
오늘부터 국회에서는 728조 원 규모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세부 심의를 시작합니다, 증액과 감액을 하는 절차인데요.
예산안 조정소위원회에서는, 대통령실 특수활동비 등 쟁점 예산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일 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임성재입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