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YTN 라디오 김준우의 뉴스정면승부]
■ 방송 : FM 94.5 (17:00~19:00)
■ 방송일 : 2025년 11월 14일 (금)
■ 진행 : 김준우 변호사
■ 대담 : 서정욱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김준우: 서정욱 변호사님 스튜디오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정욱: 네 안녕하세요.
☆김준우: 네 오늘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해서 그 법정에서요. 전 경호 5부장이라고 하는 분이 증인으로 나왔는데 당시에 관저에 있으면서 체포 영장이 집행될 때 이걸 저지하는 이야기들 지시들을 윤석열 전 대통령이 했다라고 하면서 핸드폰에 이제 메모를 해놨었다는 거예요. 그래서 내용이 좀 충격적이었습니다. 밀고 들어오면 아작난다고 느끼게 위력을 보여달라 뭐 언론에 총 같은 게 잡혀도 문제없다 여기 미사일도 있다 헬기를 띄운다 들어오면 위협사격하라 뭐 이런 식의 이야기들을 했다라고 하는 기록이 있는 건데요. 경호처 부장급 이상 직원 9명이 참여한 회의였다고 해서 굉장히 저는 좀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거든요?
■서정욱: 그런데 뭐 대통령의 원래 말씀은요 이렇게 좀 강하게 강하게 하십니다. 그러나 이걸 정당한 직무 지시다 이렇게 보기는 어렵고요. 아마 이제 그냥 회의하는 과정에 이런 게 있다 자신감 갖고 막아라 이런 뜻으로 보이고. 그런데 실제는요 그냥 순순히 체포에 응했습니다. 이게 2차 때거든요. 1차 때는 돌아갔잖아요. 그런데 2차 때는 결국 이제 다치면 안 되기 때문에 대통령이 스스로 공 체포에 응했기 때문에 실행된 게 아니다 이런거죠.
☆김준우: 실제 실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또 즉자적인 과도한 과잉 오버였다?
■서정욱: 좀 저도 여러 번 뵀는데 판사님 말씀을 강하게 해도 이대로 실천하겠습니까? 그냥 경호처 직원들 좀 자신감 북돋우기 위해서 한 이야기라고 저는 봅니다.
☆김준우: 이강 전 경호부장이라고 하는 분이 이제 심문을 해서 증인 심문을 한 건데 여기에 대해서 윤 전 대통령은 반대 심문을 하지 않았다고 지금 전해지거든요. 그러니까 거의 반박하지 못한 거 아닌가 싶어서 아마 사실관계는 맞는 것 같습니다.
■서정욱: 이분이 핸드폰에 메모장에 메모 된 거거든요. 따라서 이게 저는 사실은 맞다고 보는데 이거는 그냥 경호처를 격려하기 위한 이런 얘기 그냥 표현이지. 이대로 하라고 정당한 지시는 아니죠 그게.
☆김준우: 아니 근데 그거를 미사일을 쏜다는 얘기는 없었으니까요. 그렇긴 한데 아 그래도 저는 이거는 좀 뭐랄까 그 국정 최고 지위에 있는 자가 할 말은 아닌 것 같다라는 생각이 좀 들어서. 어쨌든 그런 이걸 잠시 이제 전해드렸고요. 지금 속보가 하나 들어왔는데 오늘 퇴임한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을 대신해서 신임 대검 차장에 구자현 서울고검장이 임명됐다는 소식입니다. 이거 예상하셨다면서요?
■서정욱: 그러면 이게 뭐 언론도 다 그렇게 돼 있는데 구자현, 송강 두 분 중에 하나 된다. 그런데 저는 구자현으로 본 게요. 이분이 문재인 정권 때 검찰국장을 했어요. 상당히 진보 정권하고 인연이 있고 청주 출신의 서울대 법대 나오고 29기입니다. 그런데 검찰이 29기 27기가 인물이 많아요. 저는 28기인데 한동훈, 이원석 27기 그다음에 나머지 이번에 노만석부터 전부 법무차관 이번에 94년도 29기 이렇습니다.
☆김준우: 그러면 변호사님 28기니까 사법연수원에 같이 있었던 시절인데 이때가 한 이때 700명 세대인가요?
■서정욱: 저 때는 500명
☆김준우: 500명이면 좀 아시겠네요?
■서정욱: 아니 이름은 제가 노만석도 잘 알죠. 20년 전부터 구자현 독에 이름을 많이 들었죠.
☆김준우: 아 그렇군요. 근데 지금 새 정부 들어서서 검찰총장 심우정 전 검찰총장 퇴임하고 나서 권한대행 체제로 몇 달 지나고 있었는데 뭐 물론 이제 청문회 문제도 있습니다만 이 구자현 서울고검장을 대검 차장에 임명했다는 거는 그럼 오히려 구자현 지금 현 서울고검장에서 대검 차장으로 인사 이동 고검장급이니까 뭐 승진은 아니지만 검찰총장은 못 되는 건가요?
■서정욱: 총장 임명 안 할 것 같아요. 끝까지 다 끝까지 안 한다고 저는 봅니다. 법조계에서 그런 게 왜 그러냐. 제2의 윤석열이 나올 수 있고 또 이 총장 중심으로 검찰이 항명 단합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총장 할 만한 적임자가 없는 것 같아요. 저는 지금 이번에 그 18명 검사장이 항명했잖아요. 그런데 김태훈하고 임은정 빼고 다 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새로 중앙지검에 비어 있잖아요. 저기 고검장급 누가 가야 되는지 지금 검사장들이 다 항명 했다고 보기 때문에 앞으로 이게 그 공백이 심할 것 같아요.
YTN 서지훈 (seojh0314@ytnradi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방송 : FM 94.5 (17:00~19:00)
■ 방송일 : 2025년 11월 14일 (금)
■ 진행 : 김준우 변호사
■ 대담 : 서정욱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김준우: 서정욱 변호사님 스튜디오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정욱: 네 안녕하세요.
☆김준우: 네 오늘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해서 그 법정에서요. 전 경호 5부장이라고 하는 분이 증인으로 나왔는데 당시에 관저에 있으면서 체포 영장이 집행될 때 이걸 저지하는 이야기들 지시들을 윤석열 전 대통령이 했다라고 하면서 핸드폰에 이제 메모를 해놨었다는 거예요. 그래서 내용이 좀 충격적이었습니다. 밀고 들어오면 아작난다고 느끼게 위력을 보여달라 뭐 언론에 총 같은 게 잡혀도 문제없다 여기 미사일도 있다 헬기를 띄운다 들어오면 위협사격하라 뭐 이런 식의 이야기들을 했다라고 하는 기록이 있는 건데요. 경호처 부장급 이상 직원 9명이 참여한 회의였다고 해서 굉장히 저는 좀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거든요?
■서정욱: 그런데 뭐 대통령의 원래 말씀은요 이렇게 좀 강하게 강하게 하십니다. 그러나 이걸 정당한 직무 지시다 이렇게 보기는 어렵고요. 아마 이제 그냥 회의하는 과정에 이런 게 있다 자신감 갖고 막아라 이런 뜻으로 보이고. 그런데 실제는요 그냥 순순히 체포에 응했습니다. 이게 2차 때거든요. 1차 때는 돌아갔잖아요. 그런데 2차 때는 결국 이제 다치면 안 되기 때문에 대통령이 스스로 공 체포에 응했기 때문에 실행된 게 아니다 이런거죠.
☆김준우: 실제 실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또 즉자적인 과도한 과잉 오버였다?
■서정욱: 좀 저도 여러 번 뵀는데 판사님 말씀을 강하게 해도 이대로 실천하겠습니까? 그냥 경호처 직원들 좀 자신감 북돋우기 위해서 한 이야기라고 저는 봅니다.
☆김준우: 이강 전 경호부장이라고 하는 분이 이제 심문을 해서 증인 심문을 한 건데 여기에 대해서 윤 전 대통령은 반대 심문을 하지 않았다고 지금 전해지거든요. 그러니까 거의 반박하지 못한 거 아닌가 싶어서 아마 사실관계는 맞는 것 같습니다.
■서정욱: 이분이 핸드폰에 메모장에 메모 된 거거든요. 따라서 이게 저는 사실은 맞다고 보는데 이거는 그냥 경호처를 격려하기 위한 이런 얘기 그냥 표현이지. 이대로 하라고 정당한 지시는 아니죠 그게.
☆김준우: 아니 근데 그거를 미사일을 쏜다는 얘기는 없었으니까요. 그렇긴 한데 아 그래도 저는 이거는 좀 뭐랄까 그 국정 최고 지위에 있는 자가 할 말은 아닌 것 같다라는 생각이 좀 들어서. 어쨌든 그런 이걸 잠시 이제 전해드렸고요. 지금 속보가 하나 들어왔는데 오늘 퇴임한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을 대신해서 신임 대검 차장에 구자현 서울고검장이 임명됐다는 소식입니다. 이거 예상하셨다면서요?
■서정욱: 그러면 이게 뭐 언론도 다 그렇게 돼 있는데 구자현, 송강 두 분 중에 하나 된다. 그런데 저는 구자현으로 본 게요. 이분이 문재인 정권 때 검찰국장을 했어요. 상당히 진보 정권하고 인연이 있고 청주 출신의 서울대 법대 나오고 29기입니다. 그런데 검찰이 29기 27기가 인물이 많아요. 저는 28기인데 한동훈, 이원석 27기 그다음에 나머지 이번에 노만석부터 전부 법무차관 이번에 94년도 29기 이렇습니다.
☆김준우: 그러면 변호사님 28기니까 사법연수원에 같이 있었던 시절인데 이때가 한 이때 700명 세대인가요?
■서정욱: 저 때는 500명
☆김준우: 500명이면 좀 아시겠네요?
■서정욱: 아니 이름은 제가 노만석도 잘 알죠. 20년 전부터 구자현 독에 이름을 많이 들었죠.
☆김준우: 아 그렇군요. 근데 지금 새 정부 들어서서 검찰총장 심우정 전 검찰총장 퇴임하고 나서 권한대행 체제로 몇 달 지나고 있었는데 뭐 물론 이제 청문회 문제도 있습니다만 이 구자현 서울고검장을 대검 차장에 임명했다는 거는 그럼 오히려 구자현 지금 현 서울고검장에서 대검 차장으로 인사 이동 고검장급이니까 뭐 승진은 아니지만 검찰총장은 못 되는 건가요?
■서정욱: 총장 임명 안 할 것 같아요. 끝까지 다 끝까지 안 한다고 저는 봅니다. 법조계에서 그런 게 왜 그러냐. 제2의 윤석열이 나올 수 있고 또 이 총장 중심으로 검찰이 항명 단합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총장 할 만한 적임자가 없는 것 같아요. 저는 지금 이번에 그 18명 검사장이 항명했잖아요. 그런데 김태훈하고 임은정 빼고 다 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새로 중앙지검에 비어 있잖아요. 저기 고검장급 누가 가야 되는지 지금 검사장들이 다 항명 했다고 보기 때문에 앞으로 이게 그 공백이 심할 것 같아요.
YTN 서지훈 (seojh0314@ytnradi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