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나경철 앵커
■ 출연 : 조현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부의장, 최진녕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 대변인이 최근 같은 당 김예지 의원을 겨냥해 "장애인을 비례대표 당선권에 너무 많이 할당했다"라는 등의 논란의 발언을 쏟아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충분히 문제가 될 만한 그런 발언이었던 것 같고. 일각에서는 장애인 혐오다, 이런 비판이 이어지는데 또 박민영 대변인 본인은 오히려 장애인 혐오 발언이라는 비판에 법적 조치까지 예고했더라고요. 어떻게 바라보십니까?
◇ 조현삼>아쉽죠. 굉장히 부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방송 유튜브 채널에 나가서 방송할 때 말실수할 수 있습니다. 말실수하고 나면 그 부분에 대해서 진심어린 사과와 사죄를 하게 되면 충분히 수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전혀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가 광복 이후에 어떤 모습을 보였습니까? 인권을 보호하고 인권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을 해 왔죠. 소수라든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그만큼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내 제1야당의 대변인이라는 자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자당 의원이지 않습니까? 자당 의원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비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봤을 때는 과연 국민의힘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없고요. 여기에 대해서도 장동혁 대표가 엄중기 겅고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적어도 대변인직에서만큼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죠. 국민의힘의 처사 자체가 굉장히 부적절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 앵커>그러니까 당의 엄중 경고 조치가 맞느냐라는 그런 비판의 목소리도 있고. 지금 이번 박민영 대변인의 발언 자체가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이 작용했다, 이런 분석도 있더라고요.
◇ 최진녕>박민영 대변인의 말에 절반은 공감할 수 없고 절반은 상당 부분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말씀드렸듯이 장애인 자체에 대해서 비하하는 식의 발언은 본인도 문제가 있다라고 해서 사과를 했습니다. 다만 본인이 그걸 했던 맥락에 대해서는 발끈하고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실질적으로 김예지 의원 같은 경우에는 정말 이례적으로 제 기억에도 비례대표를 연속으로 두 번 하는 케이스는 거의 없습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같은 경우에는 5선을 다 비례를 했지만 그 정도의 개인적 역량이 있는 그런 부분은 분명히 아니지 않습니까? 특히 김예지 의원 같은 경우에는 지난 탄핵과 관련해서 한동훈 전 대표와 같은 입장을 했고 실제 탄핵에 찬성했고 나아가 실제로 관련해서 이런 모든 것들을 국민의힘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곤란하게 만든 부분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특별히 전장연, 오늘도 제가 이곳에 오는데 문자가 왔습니다. 전장연이 지금 지하철 가는 것을 막아서 한 지하철역에 차를 못 댄다고 하는데. 국민의힘 같은 경우에는 전장연, 장애인들의 이동권은 보장하지만 우리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자. 그리고 대화를 하자고 하는데 거기는 그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런데 김예지 의원은 어떻게 했죠? 전장연 앞에 가서 무릎을 꿇었습니다. 알고 봤더니 김예지 의원 중 보좌관 중 한 명이 전장연과 관련되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라고 나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습니까? 지역구에 본인의 역량을 들여서 당선이 됐다고 하면 본인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겠지만 어떻게 보면 국민의힘에서도 두 번씩나 비례대표를 해서 됐다고 하면 당론에 충실해야 되는 것은 기본인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론과는 사뭇 이탈된 그런 모습을 보이면서 현재 국민의힘이 굉장히 어려운 이런 상태라고 하면 이 부분에 대해서 본인은 뭐라고 했죠? 탈당시켜달라. 결국 본인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서 할 생각이 없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잘 생각해 보십시오. 30대 초반에 당직 맡고 있는 비국회의원인 사람과 재선 국회의원들이 이제는 거꾸로 그와 같은 사람을 한 것에 대해서 형사고소한다는 이런 상황에 대해서 박민영 대변인의 얘기의 장애인과 관련되는 얘기에 대해서는 저도 엄중하게 그 부분은 얘기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걸어온 김예지 의원의 그와 같은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는 저도 공감할 수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조현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부의장, 최진녕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 대변인이 최근 같은 당 김예지 의원을 겨냥해 "장애인을 비례대표 당선권에 너무 많이 할당했다"라는 등의 논란의 발언을 쏟아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충분히 문제가 될 만한 그런 발언이었던 것 같고. 일각에서는 장애인 혐오다, 이런 비판이 이어지는데 또 박민영 대변인 본인은 오히려 장애인 혐오 발언이라는 비판에 법적 조치까지 예고했더라고요. 어떻게 바라보십니까?
◇ 조현삼>아쉽죠. 굉장히 부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방송 유튜브 채널에 나가서 방송할 때 말실수할 수 있습니다. 말실수하고 나면 그 부분에 대해서 진심어린 사과와 사죄를 하게 되면 충분히 수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전혀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가 광복 이후에 어떤 모습을 보였습니까? 인권을 보호하고 인권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을 해 왔죠. 소수라든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그만큼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내 제1야당의 대변인이라는 자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자당 의원이지 않습니까? 자당 의원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비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봤을 때는 과연 국민의힘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없고요. 여기에 대해서도 장동혁 대표가 엄중기 겅고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적어도 대변인직에서만큼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죠. 국민의힘의 처사 자체가 굉장히 부적절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 앵커>그러니까 당의 엄중 경고 조치가 맞느냐라는 그런 비판의 목소리도 있고. 지금 이번 박민영 대변인의 발언 자체가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이 작용했다, 이런 분석도 있더라고요.
◇ 최진녕>박민영 대변인의 말에 절반은 공감할 수 없고 절반은 상당 부분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말씀드렸듯이 장애인 자체에 대해서 비하하는 식의 발언은 본인도 문제가 있다라고 해서 사과를 했습니다. 다만 본인이 그걸 했던 맥락에 대해서는 발끈하고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실질적으로 김예지 의원 같은 경우에는 정말 이례적으로 제 기억에도 비례대표를 연속으로 두 번 하는 케이스는 거의 없습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같은 경우에는 5선을 다 비례를 했지만 그 정도의 개인적 역량이 있는 그런 부분은 분명히 아니지 않습니까? 특히 김예지 의원 같은 경우에는 지난 탄핵과 관련해서 한동훈 전 대표와 같은 입장을 했고 실제 탄핵에 찬성했고 나아가 실제로 관련해서 이런 모든 것들을 국민의힘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곤란하게 만든 부분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특별히 전장연, 오늘도 제가 이곳에 오는데 문자가 왔습니다. 전장연이 지금 지하철 가는 것을 막아서 한 지하철역에 차를 못 댄다고 하는데. 국민의힘 같은 경우에는 전장연, 장애인들의 이동권은 보장하지만 우리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자. 그리고 대화를 하자고 하는데 거기는 그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런데 김예지 의원은 어떻게 했죠? 전장연 앞에 가서 무릎을 꿇었습니다. 알고 봤더니 김예지 의원 중 보좌관 중 한 명이 전장연과 관련되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라고 나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습니까? 지역구에 본인의 역량을 들여서 당선이 됐다고 하면 본인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겠지만 어떻게 보면 국민의힘에서도 두 번씩나 비례대표를 해서 됐다고 하면 당론에 충실해야 되는 것은 기본인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론과는 사뭇 이탈된 그런 모습을 보이면서 현재 국민의힘이 굉장히 어려운 이런 상태라고 하면 이 부분에 대해서 본인은 뭐라고 했죠? 탈당시켜달라. 결국 본인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서 할 생각이 없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잘 생각해 보십시오. 30대 초반에 당직 맡고 있는 비국회의원인 사람과 재선 국회의원들이 이제는 거꾸로 그와 같은 사람을 한 것에 대해서 형사고소한다는 이런 상황에 대해서 박민영 대변인의 얘기의 장애인과 관련되는 얘기에 대해서는 저도 엄중하게 그 부분은 얘기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걸어온 김예지 의원의 그와 같은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는 저도 공감할 수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