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이 오늘 수도 베이징 톈안먼 일대에서 북한·중국·러시아 정상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강대국 위상을 과시하고 미국 패권에 맞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어가는 '반 서방' 연대의 중심임을 천명했습니다.
톈안먼 망루에는 시 주석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정상급 외빈 20여 명이 올랐습니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이,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서면서 1959년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중국·러시아(옛 소련 포함)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했습니다.
우리 측 우원식 의장과 김 위원장의 접촉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졌는데, 적어도 열병식 행사 중에는 조우가 어려웠습니다.
우 의장은 북한, 중국, 러시아 정상들과 멀리 떨어진, 망루 왼쪽 끝 쪽에 배석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우 의장은 김 위원장과 같은 앞 열에 앉았지만, 위치는 푸틴 대통령이 위치한 오른편 끝 쪽에 위치했습니다.
국가 원수급과 차별화한 측면도 있었지만, 김 위원장과 우 의장의 동선을 최대한 얽히지 않게 하려는 중국 측의 계산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를 통해 글로벌 강대국 위상을 과시하고 미국 패권에 맞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어가는 '반 서방' 연대의 중심임을 천명했습니다.
톈안먼 망루에는 시 주석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정상급 외빈 20여 명이 올랐습니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이,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서면서 1959년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중국·러시아(옛 소련 포함)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했습니다.
우리 측 우원식 의장과 김 위원장의 접촉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졌는데, 적어도 열병식 행사 중에는 조우가 어려웠습니다.
우 의장은 북한, 중국, 러시아 정상들과 멀리 떨어진, 망루 왼쪽 끝 쪽에 배석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우 의장은 김 위원장과 같은 앞 열에 앉았지만, 위치는 푸틴 대통령이 위치한 오른편 끝 쪽에 위치했습니다.
국가 원수급과 차별화한 측면도 있었지만, 김 위원장과 우 의장의 동선을 최대한 얽히지 않게 하려는 중국 측의 계산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