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아일랜드 더블린의 대표 관광지인 '몰리 말론 동상'이 관광객들의 무분별한 접촉으로 심각한 훼손을 겪자 당국이 본격적인 조치에 나섰습니다.
외신들에 따르면 더블린 시의회는 몰리 말론 동상을 보호하기 위해 동상 주변에 화단을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다음 달부터는 일정 기간 동안 동상 옆에 직원을 배치해 관광객들의 접촉을 차단할 예정입니다.
1988년 세워진 이 동상은 예술가 잔 린하르트가 아일랜드 민요의 주인공인 생선 장수 몰리 말론을 형상화해 만들었습니다.
영국 식민통치 시절 아일랜드 노동계급의 비극적 삶을 상징하는 이 동상은 전통 민요 '몰리 말론'과 함께 더블린의 상징물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몰리 말론의 가슴을 만지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속설이 퍼지기 시작하자, 수많은 관광객들이 동상의 가슴 부위를 만지며 인증샷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 여행사들까지 "가슴을 만지는 인증샷을 찍으라"고 안내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습니다.
그 결과 동상의 가슴 부위는 마모되고 변색됐는데, 이에 더블린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습니다.
동상 인근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는 틸리 크립웰은 '몰리 말론 지키기' 운동을 전개하며 "관광객들이 동상의 가슴을 만지는 것은 역겨운 행동이자 어린 세대에게 나쁜 본보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크립웰은 "아일랜드의 상징인 불멸의 아이콘이 그저 가슴으로만 인식되는 건 정말 잘못됐다"며 "이는 명백한 성희롱이자 동상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시민들의 지속적인 항의에 시의회도 움직이기 시작했는데, 더블린 시의회 대변인은 "동상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라며 "가장 유력한 방법은 화단 설치다. 조각상 받침대 주변에 화단을 설치한 후 효과를 관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외신들에 따르면 더블린 시의회는 몰리 말론 동상을 보호하기 위해 동상 주변에 화단을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다음 달부터는 일정 기간 동안 동상 옆에 직원을 배치해 관광객들의 접촉을 차단할 예정입니다.
1988년 세워진 이 동상은 예술가 잔 린하르트가 아일랜드 민요의 주인공인 생선 장수 몰리 말론을 형상화해 만들었습니다.
영국 식민통치 시절 아일랜드 노동계급의 비극적 삶을 상징하는 이 동상은 전통 민요 '몰리 말론'과 함께 더블린의 상징물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몰리 말론의 가슴을 만지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속설이 퍼지기 시작하자, 수많은 관광객들이 동상의 가슴 부위를 만지며 인증샷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 여행사들까지 "가슴을 만지는 인증샷을 찍으라"고 안내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습니다.
그 결과 동상의 가슴 부위는 마모되고 변색됐는데, 이에 더블린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습니다.
동상 인근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는 틸리 크립웰은 '몰리 말론 지키기' 운동을 전개하며 "관광객들이 동상의 가슴을 만지는 것은 역겨운 행동이자 어린 세대에게 나쁜 본보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크립웰은 "아일랜드의 상징인 불멸의 아이콘이 그저 가슴으로만 인식되는 건 정말 잘못됐다"며 "이는 명백한 성희롱이자 동상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시민들의 지속적인 항의에 시의회도 움직이기 시작했는데, 더블린 시의회 대변인은 "동상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라며 "가장 유력한 방법은 화단 설치다. 조각상 받침대 주변에 화단을 설치한 후 효과를 관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