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전화 : 이창우 국립산립과학원 산사태연구과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특히 경남 산청과 가평 지역에 인명피해까지 발생했거든요. 이렇게 극한 폭우가 내릴 때면 일반적인 상황일 때보다 산사태 위험성이 얼마나 높아지는 겁니까?
◇ 이창우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 온 비의 양이 100mm 이상 되거나 연속되는 비의 양이 200mm 이상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산사태 발생 조건이 된다고 이렇게 얘기하고 있는데요. 이번 호우 같은 경우에는 단시간에 이러한 조건을 뛰어넘는 많은 비가 집중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전국 어느 산지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앵커
우려가 많은 상황인데요. 또 하나 살펴봐야 될 지역이 조금 전에도 언급했지만 경남 산청입니다. 지난 3월에 굉장히 큰 산불이 나서 많은 분들이 놀랐던 지역인데 산불 이것도 산사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봐야 되는 겁니까?
◇ 이창우
그렇습니다. 산불이 났던 지역에서는 나무와 식생이 불에 타 없어지기 때문에 나무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산사태 저지효과 기능, 우산효과, 뿌리효과 인데요. 이 기능이 서서히 감소하게 됩니다. 우산효과는 나뭇잎이 빗물을 막아주면서 지표면 침식을 방지하는데 이 기능이 소실되고요. 뿌리효과는 나무뿌리가 땅속에서 말뚝과 그물처럼 흙을 잡아주는 역할인데 산불로불에 탄 나무는 뿌리가 서서히 썩게 되기 때문에 흙을 고정하고 있는 붕괴저지력이 서서히 감소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지표로 바로 떨어지게 되고 지표면 흙의 침식을 유발하게 되고 산사태와 같은 붕괴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올해 산불피해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많은 비로 지반이 약해진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주의가 필요한 지역이 되겠습니다.
제작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전화 : 이창우 국립산립과학원 산사태연구과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특히 경남 산청과 가평 지역에 인명피해까지 발생했거든요. 이렇게 극한 폭우가 내릴 때면 일반적인 상황일 때보다 산사태 위험성이 얼마나 높아지는 겁니까?
◇ 이창우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 온 비의 양이 100mm 이상 되거나 연속되는 비의 양이 200mm 이상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산사태 발생 조건이 된다고 이렇게 얘기하고 있는데요. 이번 호우 같은 경우에는 단시간에 이러한 조건을 뛰어넘는 많은 비가 집중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전국 어느 산지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앵커
우려가 많은 상황인데요. 또 하나 살펴봐야 될 지역이 조금 전에도 언급했지만 경남 산청입니다. 지난 3월에 굉장히 큰 산불이 나서 많은 분들이 놀랐던 지역인데 산불 이것도 산사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봐야 되는 겁니까?
◇ 이창우
그렇습니다. 산불이 났던 지역에서는 나무와 식생이 불에 타 없어지기 때문에 나무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산사태 저지효과 기능, 우산효과, 뿌리효과 인데요. 이 기능이 서서히 감소하게 됩니다. 우산효과는 나뭇잎이 빗물을 막아주면서 지표면 침식을 방지하는데 이 기능이 소실되고요. 뿌리효과는 나무뿌리가 땅속에서 말뚝과 그물처럼 흙을 잡아주는 역할인데 산불로불에 탄 나무는 뿌리가 서서히 썩게 되기 때문에 흙을 고정하고 있는 붕괴저지력이 서서히 감소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지표로 바로 떨어지게 되고 지표면 흙의 침식을 유발하게 되고 산사태와 같은 붕괴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올해 산불피해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많은 비로 지반이 약해진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주의가 필요한 지역이 되겠습니다.
제작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