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윤재희 앵커
■ 출연 : 김형주 세명대 특임교수, 홍석준 전 국민의힘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계속해서 보수 빅텐트를 주장하고 있는데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단일화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 내용 잠시 듣고 오겠습니다.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 전혀 가능성 없고요. 김용태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제 성격을 잘 알거든요. 저는 아닌 건 아니라고 딱 끊어서 얘기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잘 알면서 계속 그런 분위기를 풍기려고 할 것이지 저한테 실제로 그런 걸 하자고 연락도 못 할 겁니다. 제 성격 알기 때문에. (연락도 못 할 거다.) 해도 별로 좋은 소리 못 들을 걸 알기 때문에.]
[김용태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 (CBS '김현정의 뉴스쇼') : 저희가 이긴다는 확신이 그쪽에서 든다면 여러 가지 논의를 하자고 먼저 제안하거나 이야기의 논의의 장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김문수 후보가 이길 거라는 생각이 든다면 연락이 올 거다?) 그렇습니다. 어떤 특정 주제를 정해서 언제든지 이야기할 수 있는 사이라는 점을 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이준석 후보는 김용태 의원이 연락도 못할 거다, 이렇게 얘기를 했고. 김용태 의원 같은 경우에는 국민의힘이 이긴다는 확신이 서면 저절로 연락을 할 것이다라고 주장을 하고 있거든요.
◆홍석준> 이준석 후보는 나이는 젊지만 벌써 여의도 바닥에서 10년 이상 있었던 굉장히 노회한 정치인급에 속하는 것이죠. 이준석 후보는 절대적으로 김문수 후보가 이길 것 같으니까 움직이는 그런 스타일이 아니라 본인의 지지율에 의해서 움직일 겁니다. 즉, 본인이 의미 있는 지지율을 거두게 되면 앞으로 정치행보를 위해서도 그게 훌륭한 정치적 자산이기 때문에 끝까지 완주를 할 것이고. 반면에 국민의힘과 민주당 후보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서 결국 본인의 설자리가 좁아지면 좁아질수록 김문수 후보의 승리 가능성과는 별개로 움직일 가능성이 많다.
즉 그 점을 5%선을 기준으로 보고 만약에 5% 이하로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지게 된다면 본인으로서는 굉장히 거취에 관심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본인이 너무 지지율이 떨어지는데 완주를 해서 그것이 최종 성적표로 받아들였을 때는 굉장히 본인에게도 향후 정치 행보에 있어서 부담이 되니까 그런 과정에서는 자연스럽게 우파 보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누구보다도 먼저 고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이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대선 이후를 생각해서 완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지 않겠습니까?
◆김형주> 그럴 가능성이 더 많다고 봐야 되겠죠. 김문수 후보는 이번이 마지막인 선거일 거고 본인은 다음을 위해서 토대를 굳히는. 더군다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씨가 공식적으로 이준석 후보 지지를 했습니다. 보수판에서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라고 하는 부분이고요. 또 만약에 윤 대통령이 자의에 의해서든 타의에 의해서든 내부적인 분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보면 이번에도 한덕수, 김문수의 그런 치열한 다툼이라고 하는 것이 단순한 두 개인의 다툼이 아니고 친박, 친윤의 다툼이고 친윤계의 다툼이기 때문에 훨씬 그 변동성이 많다라고 하는 측면이고 여기서 견디면 이준석이 새로운 보수의 좌장이 될 수 있다.
나이는 젊지만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그런 생각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이준석 후보 입장에서는 시너지를 내느냐. 즉 둘이 합해서 이번 대선에서 이길 수 있느냐, 이재명 후보를. 그런 측면을 많이 고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차피 후보 단일화를 해도 이길 수 없다면 굳이 내가 단일화를 하면서 그 안에 다시 들어가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 이준석 후보의 생각이고. 아마 중반 이후에 가서는 상당히 많은 토론을 통해서 자기가 10% 이상의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이런 자신감을 현재 갖고 있는 상태라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대담 발췌 : 이선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김형주 세명대 특임교수, 홍석준 전 국민의힘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계속해서 보수 빅텐트를 주장하고 있는데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단일화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 내용 잠시 듣고 오겠습니다.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 전혀 가능성 없고요. 김용태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제 성격을 잘 알거든요. 저는 아닌 건 아니라고 딱 끊어서 얘기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잘 알면서 계속 그런 분위기를 풍기려고 할 것이지 저한테 실제로 그런 걸 하자고 연락도 못 할 겁니다. 제 성격 알기 때문에. (연락도 못 할 거다.) 해도 별로 좋은 소리 못 들을 걸 알기 때문에.]
[김용태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 (CBS '김현정의 뉴스쇼') : 저희가 이긴다는 확신이 그쪽에서 든다면 여러 가지 논의를 하자고 먼저 제안하거나 이야기의 논의의 장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김문수 후보가 이길 거라는 생각이 든다면 연락이 올 거다?) 그렇습니다. 어떤 특정 주제를 정해서 언제든지 이야기할 수 있는 사이라는 점을 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이준석 후보는 김용태 의원이 연락도 못할 거다, 이렇게 얘기를 했고. 김용태 의원 같은 경우에는 국민의힘이 이긴다는 확신이 서면 저절로 연락을 할 것이다라고 주장을 하고 있거든요.
◆홍석준> 이준석 후보는 나이는 젊지만 벌써 여의도 바닥에서 10년 이상 있었던 굉장히 노회한 정치인급에 속하는 것이죠. 이준석 후보는 절대적으로 김문수 후보가 이길 것 같으니까 움직이는 그런 스타일이 아니라 본인의 지지율에 의해서 움직일 겁니다. 즉, 본인이 의미 있는 지지율을 거두게 되면 앞으로 정치행보를 위해서도 그게 훌륭한 정치적 자산이기 때문에 끝까지 완주를 할 것이고. 반면에 국민의힘과 민주당 후보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서 결국 본인의 설자리가 좁아지면 좁아질수록 김문수 후보의 승리 가능성과는 별개로 움직일 가능성이 많다.
즉 그 점을 5%선을 기준으로 보고 만약에 5% 이하로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지게 된다면 본인으로서는 굉장히 거취에 관심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본인이 너무 지지율이 떨어지는데 완주를 해서 그것이 최종 성적표로 받아들였을 때는 굉장히 본인에게도 향후 정치 행보에 있어서 부담이 되니까 그런 과정에서는 자연스럽게 우파 보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누구보다도 먼저 고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이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대선 이후를 생각해서 완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지 않겠습니까?
◆김형주> 그럴 가능성이 더 많다고 봐야 되겠죠. 김문수 후보는 이번이 마지막인 선거일 거고 본인은 다음을 위해서 토대를 굳히는. 더군다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씨가 공식적으로 이준석 후보 지지를 했습니다. 보수판에서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라고 하는 부분이고요. 또 만약에 윤 대통령이 자의에 의해서든 타의에 의해서든 내부적인 분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보면 이번에도 한덕수, 김문수의 그런 치열한 다툼이라고 하는 것이 단순한 두 개인의 다툼이 아니고 친박, 친윤의 다툼이고 친윤계의 다툼이기 때문에 훨씬 그 변동성이 많다라고 하는 측면이고 여기서 견디면 이준석이 새로운 보수의 좌장이 될 수 있다.
나이는 젊지만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그런 생각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이준석 후보 입장에서는 시너지를 내느냐. 즉 둘이 합해서 이번 대선에서 이길 수 있느냐, 이재명 후보를. 그런 측면을 많이 고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차피 후보 단일화를 해도 이길 수 없다면 굳이 내가 단일화를 하면서 그 안에 다시 들어가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 이준석 후보의 생각이고. 아마 중반 이후에 가서는 상당히 많은 토론을 통해서 자기가 10% 이상의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이런 자신감을 현재 갖고 있는 상태라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대담 발췌 : 이선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