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시 3회 연속 국토부 '스마트도시' 인증

[경기] 수원시 3회 연속 국토부 '스마트도시' 인증

2025.11.27. 오후 1:4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수원시가 국토교통부 주관 '스마트도시 인증 공모'에서 지난 2021년과 2023년에 이어 올해도 인증 획득에 성공했습니다.

수원시는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 구축과 도시안전통합센터의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등 교통서비스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제한 스쿨존'은 어린이보호구역에 블루투스 장치를 설치해 어린이들이 스마트폰을 보며 걷는 것을 방지하는 사업입니다.

스마트폰에 보행안전앱을 설치하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보행하는 중에는 통화 이외 모든 앱이 작동되지 않습니다.

11개 초등학교 스쿨존 내에 블루투스 단말기를 설치했습니다.

수원시 도시안전통합센터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자체 예산을 활용해 지능형교통체계(ITS)를 구축한 후 고도화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1만여 건의 교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효율적으로 신호를 운영하고, 도로소통정보를 제공합니다.

혁신성 부문에서는 수원시와 아주대학교가 협업한 '파란학기제'가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수원시가 아주대학교에 지역사회 문제점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수원시에 정책 제안을 합니다.

거버넌스·제도 부문에서는 모바일 시민 참여 플랫폼 '새빛톡톡'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시는 2023년 새빛톡톡을 출시했고, 현재 회원은 13만3000명을 넘어섰다. 시민 제안 3,508건, 정책 제안 댓글은 80만3414건에 이릅니다.

서비스·기술인프라 부문에서는 '인파 밀집 인공지능(AI) 카메라 시스템'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4개 지역 16개소에 인공지능 카메라 28대를 설치했습니다.

긴급상황(일정 공간 임계치 이상 인파 밀집한 경우)이 발생하면 시청 재난상황실 관제 PC로 알람을 자동 송출하고, 현장에 설치된 스피커로 위험 상황을 알립니다.

국토부는 도시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부터 스마트도시 인증 공모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응모 지자체의 스마트도시 서비스·기반 시설 수준, 공공의 역량과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을 부여합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