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생활물가 상승을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19세 이상 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심각하다'는 답변은 여성(90.3%)과 30대(88.5%)에서 월등히 높았습니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 원 미만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습니다.
물가 상승이 생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70.4%에 달했습니다.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했습니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41.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순이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19세 이상 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심각하다'는 답변은 여성(90.3%)과 30대(88.5%)에서 월등히 높았습니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 원 미만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습니다.
물가 상승이 생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70.4%에 달했습니다.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했습니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41.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순이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