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학교시설 화재 건수가 174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원인으로는 전기적 요인이 80건으로 46%, 부주의가 53건으로 30% 등이었습니다.
특히 전체 화재 원인의 절반 이상이 노후 전기설비에서 비롯되거나 용접·절단 공사 중 관계자 등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도소방재난본부는 오늘(23일)부터 8월까지 도내 2천685개 학교를 대상으로 '여름철 학교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방학 중 공사를 진행하는 학교에 화재 감시 차량을 배치하고 용접·절단 등 작업 전 안전 계획 검토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화재 원인으로는 전기적 요인이 80건으로 46%, 부주의가 53건으로 30% 등이었습니다.
특히 전체 화재 원인의 절반 이상이 노후 전기설비에서 비롯되거나 용접·절단 공사 중 관계자 등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도소방재난본부는 오늘(23일)부터 8월까지 도내 2천685개 학교를 대상으로 '여름철 학교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방학 중 공사를 진행하는 학교에 화재 감시 차량을 배치하고 용접·절단 등 작업 전 안전 계획 검토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