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큐] '작은 거인' 김수철, 지휘자 데뷔...동서양 하모니

[뉴스큐] '작은 거인' 김수철, 지휘자 데뷔...동서양 하모니

2023.09.22. 오후 5: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이광연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가수 김수철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큐]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방금 전 끝난 노래, 젊은 그대. 1980년대를 풍미했던 가수 김수철 씨의 명곡 중 하나인데요. 박석원 기자는 앞의 노래 어떤 거 아세요?

[앵커]
그래도 영상 속에 젊은그대나, 정신차려, 나도야 간다는 알 것 같아요.

[앵커]
저는 다 압니다.

[앵커]
모두 다 알고 있는 이 노래의 주인공, 데뷔 45년을 맞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김수철 씨 바로 만나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앵커]
저희 영상 구성은 어떻게 만족하십니까?

[김수철]
좋습니다. YTN에서 오래전에 인터뷰한 연습할 때 감회가 새롭네요.

[앵커]
그러세요? 제가 마이크 차실 때 혹시 선생님이라고 불러드릴까요 했더니 손사레 하셨는데. 역시나 젊은 그대 음악 때문인지 여전히 그런 느낌이세요.

[김수철]
저는 선생님, 가르쳐준 것도 없는데. 친구처럼 하는 게 좋습니다.

[앵커]
김수철 씨께 여쭤보겠습니다.

[앵커]
앞서도 저희가 얘기했지만 저는 일부 곡들은 알고 있는데 선배께서는 모든 곡을 알고 계신다고 하셔서. 모르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서 시청자분들께 인사 한말씀해 주시죠.

[김수철]
안녕하세요. 김수철입니다. 저의 노래는 못다핀 꽃 한송이, 내일, 나도야 간다, 젊은 그대, 치키치키차카차카라는 날아라 슈퍼보드, 정신차려, 모두 다 사랑하리 등등등 제가 작곡한 곡들이 여러분들 많이 아시는 곡들입니다.

[앵커]
저희가 직전에 영상으로 소개도 했는데. 젊은 그대 같은 곡은 한번쯤은 다 누구나 흥얼거렸을 법한 그런 노래들인데 시대가 흘러도 여전히 사랑을 받는 이유는 본인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김수철]
그건 제가 모르죠. 그런데 온 가족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가족 노래이고 또 응원가 노래이다 보니까 아직도 많이 불려지고 사랑을 받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중에서도 여러 곡들이 리메이크 되기도 했었고 또 젊은 그대 같은 경우는 아직도 많이 흥얼거리는 멜로디 중 하나거든요. 젊은 그대의 무대들을 봤을 때 노랫말의 의미라고 할까요. 또 안무도 굉장히 히트가 되지 않았습니까? 뒷 이야기도 전해 주시죠.

[김수철]
안무는 제가 춤을 잘 못 춰서 엉거주춤 춤이고요.

[앵커]
그게 못 춰서 나온 춤인가요?

[김수철]
제가 춤 출 줄 모르니까 중학교 때 체조가 있습니다. 거기서 일부 따서 제가 흉내낸 게 그 춤 같고요. 젊은 그대는 안양자 극작가님이 노랫말이 좋아서 순식간에 작곡한 곡입니다.

[앵커]
지금 나오는 이 노래도 친구들한테 많이 써먹었던 노래이기도 하고 이 노랫말은 어떻게 탄생하게 된 건가요?

[김수철]
그 당시에 정치풍자인데 왔다갔다하는 철새 같은 그런 풍자를 한 노래고. 욕심부리면 혼자 산다, 외롭게 산다. 왜 이렇게 욕심을 부리니? 이런 풍자곡입니다.

[앵커]
그때나 지금이나 이 노래의 통할 수밖에 없는 노래인 것 같습니다.

[앵커]
그리고 대부분 국민들이 다 따라해봤을 법한 치키치키차카차카, 날아라 슈퍼보드 OST였는데. 굉장히 음악 스펙트럼이 넓잖아요. 여러 가지 곡들을 많이 했었는데 지금 치키치키차카차카 같은 경우에는 지금 나오는데.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왔거든요. 이런 노래 만든 배경은 어떤 게 있을까요?

[김수철]
제가 어린이들이 가요 부르는 게 싫어서 어린이 정서에 맞는 노래를 작사, 작곡해야겠다 결심하고 만든 곡 중에 이 날아라 슈퍼보드가 크게 히트를 해서 여러분들이 좋아하시게 된 겁니다.

[앵커]
지금 보시는 분들 이 노래, 김수철 씨가 만들었었지 기억을 하실 텐데 지금 듣고 있는 대중가요들만큼이나 김수철 씨가 여러 애정을 갖고 있는 음악이 바로 국악 아니겠습니까? 서편제 OST도 생각이 나고 또 올림픽 전야제, 개막식 음악 같은 것도 직접 만든 음악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남다른 애정에 대해서 직접 설명해 주시죠, 국악에 대한.

[김수철]
우리나라가 문화콘텐츠가 없습니다. 청소년, 청년들에게 긍지를 가질 만한 문화콘텐츠를 만드는 걸 40년 넘게 해 왔고요. 그래서 그것을 보여드리려고 45주년 기념공연을 한 거고요. 그다음에 우리 국악을 세계에 좀 알리는 데 일조를 하고 싶어서. 그런데 이게 전통문화는 어느 나라든지 있기 때문에 전통문화를 현대화한 것만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우리 국악을 공부해서 국악을 대중음악화, 클래식화, 현대음악화하는 작곡을 40년 이상 해 왔습니다. 그 부분들을 이번에 처음 보여드리는 공연이 45주년 기념공연입니다.

[앵커]
데뷔 45주년, 그룹 작은 거인으로 데뷔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 사실 그 시간 동안 여러 장르의 음악을 시도하셔서 김수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해 오셨는데. 지금의 음악 환경은 창작자로서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음악을 향한 환경.

[김수철]
요즘 환경이요? 사실 우리 문화를 알리는 데 우리가 좀 너그럽거나 좋은 환경은 아닙니다. 우리 문화가 전부 여러분, 주위를 보시면 전부 서양문화 위주로 돼 있거든요. 그래서 저는 우리 문화가 다른 나라보다 좋다, 나쁘다 이게 아니고 밸런스, 균형. 서양 문화만 너무 얘기하니까 우리 청소년, 청년들이 긍지를 가질 만한 문화콘텐츠가 반드시 필요하거든요. 그래서 그 부분을 균형을 맞추는 게 좋지 않나 하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습니다, 제가.

[앵커]
그래서 우리 문화, 그중에서 음악문화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국악공부를 하셨고. 국악 공부를 하면서부터 한 40여 년간 고민했었던 게 동서양 음악문화의 콜래버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 100인조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데뷔하시잖아요. 그게 동서양의 콜라보 아닙니까?

[김수철]
맞습니다. 우리 국악기, 대금, 가야금, 아쟁 곡을 쓰고 이것을 현대인이 감상하기 편하도록 오케스트라화 한 겁니다. 그래서 우리 소리와 서양 소리와 조화로운 작곡한 음악들을 선보였는데. 아까 말씀하셨지만 영화 서편제 음악, 팔만대장경 음악, 그다음에 88서울올림픽 음악, 2002 한일월드컵 개막식 음악, 이런 음악들을 초연으로 처음으로 들려드립니다.

[앵커]
무대 위에서 오케스트라로.

[김수철]
동서양 100인조 오케스트라라고. 국악이 이끄는 동서양 100조 오케스트라는 국내에서도 최초고 세계에서도 최초일 겁니다. 그래서 많이관심들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앵커]
듣기로는 40년 넘게 꿈꿔왔던 그런 무대라고 들었는데. 워낙에 음악 감독 오래하셨습니다마는 그래도 오케스트라 지휘자는 힘든 점도 있었을 것 같아요. 어떤 게 힘드셨어요?

[김수철]
제가 평상시에 녹음실에서는 지휘하고 이렇게 하는데 실제로 공연은 처음이라서. 동서양, 100인조 오케스트라 들어가는 장소가 없어서 좀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고요.

[앵커]
그러면 나눠서 연습을 하나요, 혹시?

[김수철]
그게 아니라 들어갈 수 있는 80명 정도. 그리고 제가 제 음악사운드가 타악기가 많이 필요해서 이번에 서양 타악기 20대를 제작 주문했어요. 그래서 서양 타악기 20대 들어오고 국악 타악기 20대가 들어오고. 그러면서 100인조를 형성하다 보니까 장소가 없어서 80~90인조 그 정도의 장소로 연습하고 있습니다.

[앵커]
혹시 하시면서 매력포인트라고 할까요, 이런 무대를 준비하면서 매력포인트가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김수철]
매력포인트는 여러분들이 못 들으시는 음악, 혹시 제 음악을 들으셨던 분은 정말 웅장한 라이브 음악을 들으실 수 있고요. 그다음에 앞서 말씀드렸지만 올림픽 음악, 월드컵 음악, 영화 서편제 음악들을 초연, 처음으로 라이브로 들으실 수 있는 기회고 그다음에 제가 첫 공연이거든요. 45년 만에 이렇게 제대로 하는 첫 공연이라서 저의 히트곡들을 게스트, 우정출연하는 양희은 선배, 이적 씨, 성시경 씨, 백지영 씨, 화사 씨가 또 저의 히트곡들을 불러드립니다.

[앵커]
이번 무대에 다 같이 하는 건가요?

[김수철]
다 같이 합니다.

[앵커]
어떻게 뜻을 이렇게 모으시게 된 겁니까?

[김수철]
제가 좋아하는 후배들한테 45주년 하는데 나와줄래 하니까 흔쾌히 승낙하셔서 우정출연하게 됐습니다.

[앵커]
선배가 나오라고 하니까 강요에 의해서 나오는 거 아닙니까?

[김수철]
나오라고 다 나오는 건 아닌데 그래서 제가 좀 울컥했습니다.

[앵커]
첫 도전이라고 하셨잖아요, 지휘자는. 그러면 혹시 유튜브를 보시면서 내가 따라해야 되겠다, 좀 참고해야 되겠다, 이런 지휘자가 있었을까요?

[김수철]
제가 음악하는 게 새로운 장르 개척이거든요. 기존의 클래식하고는 다른 음악입니다. 현대음악 장르지만. 그래서 제 식대로 지휘하면 됩니다.

[앵커]
그래서 기대하는 분들도 많을 것 같고 인기도 많을 것 같은데 이게 지금 다음 달 하루 낮, 저녁 2회 공연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낮에는 또 무료공연을 준비하셨다고 하는데.

[김수철]
그래서 어려운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초청합니다. 그래서 반은 무료공연이고 반은 유료공연인데 반은 환경미화원, 우편배달원, 소방대원 이렇게 어려운 곳에서 일 열심히 하시는 분들을 무료로 초청합니다.

[앵커]
혹시 그분들의 반응을 들으셨어요?

[김수철]
아주 좋습니다. 그리고 함께하는 공연, 이게 뜻깊은 공연, 이게 더 중요해요.

[앵커]
이런 분들과 함께하는 공연. 여러 모로 의미가 있는데 아까 40년 넘게 지금 자막처럼 꿈꿔왔다고 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이런 무대를 꿈꿔온 이유?

[김수철]
난타의 송승환 씨가 제 죽마고우인데 송승환 씨는 그 당시에 뮤지컬, 난타 같은 걸로 세계로 갔는데 20살 시절에. 저는 우리 국악을 세계에 알리겠다. 그런데 지금 작곡을 많이 하다 보니 나이가 이렇게 지나게 됐는데. 이제라도 우리 국악을 세계에 알리는 데 공연으로 많이 도전해 볼까 합니다.

[앵커]
지금 국악이라고 하는 게 많이 알려지긴 했어도 대중적으로 인기를 많이 끌거나 이런 건 부족한 면이 있지 않겠습니까? 이렇게 국악을 대중가요에 접목을 시도하는 이유, 국악을 조금 더 알리고자 하는 그 의지는 어디에 있다고 보시는 겁니까?

[김수철]
앞서 말씀드린 대로 우리 청소년, 청년들이 긍지를 가질 만한 문화가 있는 게 중요해요, 굉장히. 우리 기준이 다 서양문화 위주로 돼 있거든요. 그랬을 때 나중에 글로벌 시대에 막바지로 올라갔을 때, 다른 나라... 너희 나라 문화가 뭐니 꼭 얘기하거든요. 그런데 우리가 얘기할 게 그렇게 많지가 않아요. 그래서 저는 작곡가니까 음악 그거를 하려고 40년 이상 노력해 온 것이 우리나라 문화콘텐츠를 만들겠다, 이 부분입니다.

[앵커]
국악만의 매력, 우리 문화콘텐츠의 뿌리로서 국악의 장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김수철]
우리 소리는 빠지면 못 나가요. 그런데 그 빠지기 전까지가 힘들어요. 그래서 저는 우리 소리를 쉽게 대중화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하는 작곡, 그것이 제가 열심히 한 그 부분입니다.

[앵커]
지금 김수철 씨 만난 시청자분들은 고래사냥에 나왔던 배우로도 기억을 할 텐데. 혹시 지금 음악활동 말고 활동 영역을 넓히실 계획도 있으신가요?

[김수철]
없어요. 그건 그때 어렸을 때 잠깐 재주 부린 거라서.

[앵커]
음악에만 집중하시기로...

[김수철]
음악에만 전념하겠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공연을 앞두고 계시는데. 40년간 꿈꿔왔던 공연이기도 했고 또 15년 이상 준비도 했었고 또 후원사가 부족해서 많이 여러 가지로 어려움도 있으셨을 텐데. 우여곡절 끝에 만들어놓은 이 공연에 대해서 자랑 한마디 해주시죠.

[김수철]
자랑할 건 아니지만 제가 40년 이상 최선을 다해서 작곡하고 준비한 음악들입니다. 여러분들 오셔서 우리 소리의 다양함 우리 소리가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고 감동적인 음악이라는 것을 한번 경험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와주세요.

[앵커]
알겠습니다.

100인조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다시 도전하는 작은 거인 가수 김수철 씨 만나봤습니다. 오늘 고맙습니다.

[김수철]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 YTN 서울투어마라톤 (2024년 10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