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문화재 SOS 지도 어떻게 만들었나

매장문화재 SOS 지도 어떻게 만들었나

2017.08.28. 오전 11:4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매장문화재 SOS 지도 어떻게 만들었나
AD
(이 글은 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의 연속보도 기사 '소규모 난개발의 습격:매장 문화재 SOS 지도'의 분석 방법을 추가로 설명한 글입나다. 자세한 기사는 링크를 참고하세요)

YTN은 국내 매장 문화재 근방의 소규모 개발 압력을 시각화한 매장문화재 SOS 지도를 제작해 문화재 관리 제도의 사각지대를 분석했다. 매장문화재 유존지역(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어 우선적으로 관리하는 구역, 이하 '유존지역') 외곽에서 문화재 관련 조사를 전혀 받지 않고 땅을 파헤친 건축공사의 위치를 추적해 지도에 표시했다. 조사 지역은 수도권의 경기도와 인천을 대상으로 했다.

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은 이를 위해 지난 1999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건축 인허가를 받아 진행된 공사 138만여 건 중 공사가 중단됐거나 공사 지점을 특정하기 어려운 20만 여건을 제외한 118만 1313건을 추려냈다. 1999년은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에 대한 매장문화재 지표 조사가 법제화되어 시행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취재진은 문화재청이 전자 지도 형태로 관리하는 문화재 보존관리 지도의 데이터를 입수해 건축 데이터와 연계해 지리정보시스템 프로그램인 QGIS로 공간 분석을 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 유적과 동산 문화재, 무형문화재, 근현대 유적등을 제외한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을 분석 대상으로 했다.

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은 분석을 위해 한국 고고학회의 자문을 받아 매장문화재 유존 지역 외곽 경계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정해 관심 구역으로 정했다. 즉 유존지역으로부터 100m 이내, 시도지정 문화재로부터 300m, 국가 지정문화재로부터는 500m 이내 범위를 관심 구역로 봤다. 유존지역에 가까운 만큼, 추가적인 매장 문화재 존재 여부를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 구역이란 뜻이다. 참고로, 문화재청이 고시한 '문화재 지표 조사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규정'은 지표조사 시 건축 사업 예정부지 경계로부터 500m 이내 지역에 국가 또는 시․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 자료, 향토 자료 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취재진은 관심 구역 중에 기존에 매장문화재 지표조사나 입회,표본 조사 등이 이뤄졌던 영역과 지점은 제외한 뒤, 나머지 관심 영역 안에 들어오는 3만 제곱미터 미만의 건축공사 지점을 추출했다. 이 과정에서 문화재청이 운영하는 문화재 공간정보에는 누락된 다음 1)~4)의 정보도 반영해 분석했다.

1) 문화재청 지리 데이터에는 누락된 경기도와 인천 132건, 경주 21건의 지표조사 보고서를 해당 민간 조사 기관에 자료를 요청해 수집했다. 문화재청이 누락 지표조사 보고서의 목록은 갖고 있으나 해당 보고서 자체를 찾기 어렵다고 밝힌 자료들이다. 취재진은 지표조사 보고서를 받은 뒤 연속지적도상의 조사 영역을 GIS 지도 상에 추가해 포함시키는 작업을 했다. 추가된 영역에서 이뤄진 건축공사는 지표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간주해 깜깜이 공사 목록에서는 제외했다.

2) 경기도 용인과 김포, 경주시 등 지자체 직권으로 매장 문화재 유존 지역 외부에서 입회·표본조사를 실시한 지역의 경우, 해당 조사영역도 반영했다.

3) 매장 문화재 유존지역 바깥에서 지표조사 없이 바로 시굴 조사나 발굴 조사가 이뤄진 공사는 해당 발굴 조사 영역 등을 분석에 반영했다. 경기 인천, 2289개와 경주 710개이다. 이밖에 문화재청 지도에 누락된 시굴 발굴 보고서 정보 중 경기, 인천과 경주지역 303건을 검토했고, 이중 깜깜이 공사 등과 연관있는 발굴조사 지역 9건을 추가 반영했다.

4) 신도시 대규모택지개발, 산업단지, 과거 재개발지역, 토지구획정리사업지역 등 문화재 지표조사를 이미 수행한 영역 둥 3,142건도 분석에 반영했다. 간척지 등 매장문화재가 존재할 가능성이 희박한 지역도 분석에서 제외했다.

이같은 보완 작업을 통해 도출한 최종 관심영역에서 발견된 3만㎡ 미만 건축 공사들을 깜깜이 공사로 간주했다.매장 문화재가 존재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존지역 부근이지만, 현행 법규 하에서 별다른 문화재 조사 없이 진행된 공사들이다. 취재진은 지난 18년동안 경기도,인천,경주 지역에서 누적된 깜깜이 공사의 분포와 규모를 산정하고 인터랙티브 지도로 시각화했다.

매장문화재 SOS 지도에 나타난 깜깜이 공사의 규모는 실제보다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이 있다. 분석 과정에서 도로 공사 등의 토목 공사를 포함하지 않았고, 문화재청 지도에 누락되어 있는 일부 유존지역은 분석에서도 빠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500미터 반경 등 관심 영역의 범위 밖에 있어, '깜깜이 공사' 목록에서는 제외된 다른 3만㎡ 미만 건축 공사들도 대부분 아무런 문화재 조사를 받지 않고 진행된 공사들이다.

취재· 분석 : 함형건
데이터 정리· 분석 : 권오은





(포털 기사에서 인터책티브 지도가 나타나지 않으면 http://bit.ly/2vj67b3로 가시면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