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틱톡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입소문을 타고 한국산 화장품이 미국 주류 유통업체 상품 진열대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고 CNBC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CNBC가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닐슨IQ 분석에 따르면, 올해 미국 내 K-뷰티 매출 전망치는 20억 달러(약 2조9천억 원)로, 작년보다 37% 급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충격에도 불구하고 K-뷰티가 여전히 미국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닐슨IQ 뷰티산업 부문의 테레세-앤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미국 내 K-뷰티 진입에 대해 "성장세가 매우 놀라운 수준"이라며 "전체 미국 뷰티 시장 성장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데, K-뷰티는 현재 확실히 다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기초화장품이 매출 확대를 주도하는 가운데 색조나 자외선 차단제가 가미된 하이브리드 상품들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닐슨IQ는 분석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유통기업들도 K-뷰티를 찾는 소비자들의 관심 확대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의 올리브영과 유사한 화장품 매장 울타(ULTA)는 지난 1분기 한국산 화장품 매출이 38%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2분기 들어서도 월가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냈는데 K-뷰티 관련 파트너십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울타는 지난 7월 K-뷰티 전문 편집 플랫폼인 'K뷰티 월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산 화장품 판매 강화에 나섰습니다.
화장품 유통업체, 세포라도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플래그십 매장 한쪽 벽면을 K-뷰티 제품으로 꾸미고, K-뷰티 브랜드들과 독점 공급 계약을 맺었습니다.
월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마트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를 감지하고 진열대에 에센스, 세럼, 마스크팩 등 제품군을 늘리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내 K-뷰티 급성장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틱톡과 같은 SNS에서의 바이럴(입소문) 마케팅 성공이 꼽힙니다.
CNBC가 인용한 퍼스널케어인사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K-뷰티 소비자의 약 4분의 3은 MZ세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틱톡에서 제품 정보를 발견하고 있습니다.
앞서 2010년대에도 K-뷰티 상품들이 미국 시장에 소개되는 '1차 물결'이 있었지만, 당시에는 판매 채널이 주로 소규모 유통매장이나 아마존 온라인 판매자 등 틈새시장에 한정돼 있었습니다.
마케팅도 피부톤을 밝게 하는 제품군에 초점을 뒀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2차 물결'은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른 것은 물론 제품군이 색조, 헤어·두피케어, 바디케어, 피부관리기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된 데다 대상 고객군도 확대됐다는 점이 다르다고 CNBC는 소개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최근 K-뷰티 열풍이 틱톡 입소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닐슨IQ의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단일 플랫폼에 성장이 집중돼 있을 때 추천 알고리즘 변경이 하룻밤 사이 제품 노출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동안 우리는 플랫폼들이 추천 알고리즘을 수정할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봐왔다"라고 말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NBC가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닐슨IQ 분석에 따르면, 올해 미국 내 K-뷰티 매출 전망치는 20억 달러(약 2조9천억 원)로, 작년보다 37% 급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충격에도 불구하고 K-뷰티가 여전히 미국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닐슨IQ 뷰티산업 부문의 테레세-앤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미국 내 K-뷰티 진입에 대해 "성장세가 매우 놀라운 수준"이라며 "전체 미국 뷰티 시장 성장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데, K-뷰티는 현재 확실히 다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기초화장품이 매출 확대를 주도하는 가운데 색조나 자외선 차단제가 가미된 하이브리드 상품들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닐슨IQ는 분석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유통기업들도 K-뷰티를 찾는 소비자들의 관심 확대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의 올리브영과 유사한 화장품 매장 울타(ULTA)는 지난 1분기 한국산 화장품 매출이 38%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2분기 들어서도 월가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냈는데 K-뷰티 관련 파트너십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울타는 지난 7월 K-뷰티 전문 편집 플랫폼인 'K뷰티 월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산 화장품 판매 강화에 나섰습니다.
화장품 유통업체, 세포라도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플래그십 매장 한쪽 벽면을 K-뷰티 제품으로 꾸미고, K-뷰티 브랜드들과 독점 공급 계약을 맺었습니다.
월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마트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를 감지하고 진열대에 에센스, 세럼, 마스크팩 등 제품군을 늘리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내 K-뷰티 급성장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틱톡과 같은 SNS에서의 바이럴(입소문) 마케팅 성공이 꼽힙니다.
CNBC가 인용한 퍼스널케어인사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K-뷰티 소비자의 약 4분의 3은 MZ세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틱톡에서 제품 정보를 발견하고 있습니다.
앞서 2010년대에도 K-뷰티 상품들이 미국 시장에 소개되는 '1차 물결'이 있었지만, 당시에는 판매 채널이 주로 소규모 유통매장이나 아마존 온라인 판매자 등 틈새시장에 한정돼 있었습니다.
마케팅도 피부톤을 밝게 하는 제품군에 초점을 뒀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2차 물결'은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른 것은 물론 제품군이 색조, 헤어·두피케어, 바디케어, 피부관리기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된 데다 대상 고객군도 확대됐다는 점이 다르다고 CNBC는 소개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최근 K-뷰티 열풍이 틱톡 입소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닐슨IQ의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단일 플랫폼에 성장이 집중돼 있을 때 추천 알고리즘 변경이 하룻밤 사이 제품 노출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동안 우리는 플랫폼들이 추천 알고리즘을 수정할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봐왔다"라고 말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