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상호 국빈 방문을 포함해 내년에 최대 4번 만나 정상회담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 재무장관이 밝혔습니다.
스콧 베선트 장관은 현지 시간 25일 CNBC 방송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은 베이징을, 시 주석은 미국을 각각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미국에서 개최될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각각 참석해 미·중 정상의 만남이 내년 한 해에만 최소 4차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 주석과 통화한 뒤 소셜미디어에 "시 주석이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초청해 수락했고, 시 주석은 내년에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손님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시 주석이 미국 도랄에서 열리는 G20 참석을 위해서도 미국에 오게 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월 "내년 G20 정상회의가 미국 플로리다의 마이애미에서 열린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장소는 자신 소유의 골프 리조트인 도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의 언급대로면 미·중 정상이 내년 중 상호 국빈 방문하는 데 더해 양국에서 개최될 G20과 APEC의 다자 무대에서도 대좌하게 되는 셈입니다.
베선트 장관은 "1년 동안 이런 네 차례의 회담이 있다면, 그것은 양국 관계에 큰 안정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고, 안정성은 미국 국민에게도 좋고, 세계 경제에도 좋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은 항상 경쟁자가 될 것이며 그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중이 각자 필요에 의해 전략적 협력을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전략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구도라는 인식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타이완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으며, 우크라이나 분쟁에서의 평화를 추진하고, 이를 위해 협력하는 데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전날 두 정상의 통화와 관련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에 있어 타이완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 내용을 소개한 SNS 글에서 타이완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30일 부산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입과 관련해선 "향후 3년 반 동안 중국이 최소 8천750만t을 구매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24일 이뤄진 미중 정상 통화의 경우 시진핑 주석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에게 통화를 요청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정상의 제안 또는 요구에 따라 미중 정상 간 소통이 이뤄진 것은 2001년 9·11 동시다발 테러 후 장쩌민 당시 중국 국가주석이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전보를 친 이후 처음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다만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24일 통화가 미국이 요청해서 이뤄진 통화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차기 연방준비제도 (Fed·연준) 의장 선출을 위한 후보자 면접을 이날 진행한다면서 "2차 라운드의 마지막 면접"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선트는 "매우 뛰어난 후보자 5명을 갖고 있으며, 그들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소개한 뒤 "대통령이 차기 의장을 크리스마스 전 발표할 매우 좋은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5명으로 좁혀진 차기 연준 의장 후보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미셸 보먼 연준 이사(은행 감독 부의장 겸임),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채권 부문 최고투자책임자 (CIO)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스콧 베선트 장관은 현지 시간 25일 CNBC 방송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은 베이징을, 시 주석은 미국을 각각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미국에서 개최될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각각 참석해 미·중 정상의 만남이 내년 한 해에만 최소 4차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 주석과 통화한 뒤 소셜미디어에 "시 주석이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초청해 수락했고, 시 주석은 내년에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손님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시 주석이 미국 도랄에서 열리는 G20 참석을 위해서도 미국에 오게 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월 "내년 G20 정상회의가 미국 플로리다의 마이애미에서 열린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장소는 자신 소유의 골프 리조트인 도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의 언급대로면 미·중 정상이 내년 중 상호 국빈 방문하는 데 더해 양국에서 개최될 G20과 APEC의 다자 무대에서도 대좌하게 되는 셈입니다.
베선트 장관은 "1년 동안 이런 네 차례의 회담이 있다면, 그것은 양국 관계에 큰 안정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고, 안정성은 미국 국민에게도 좋고, 세계 경제에도 좋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은 항상 경쟁자가 될 것이며 그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중이 각자 필요에 의해 전략적 협력을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전략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구도라는 인식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타이완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으며, 우크라이나 분쟁에서의 평화를 추진하고, 이를 위해 협력하는 데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전날 두 정상의 통화와 관련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에 있어 타이완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 내용을 소개한 SNS 글에서 타이완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30일 부산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입과 관련해선 "향후 3년 반 동안 중국이 최소 8천750만t을 구매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24일 이뤄진 미중 정상 통화의 경우 시진핑 주석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에게 통화를 요청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정상의 제안 또는 요구에 따라 미중 정상 간 소통이 이뤄진 것은 2001년 9·11 동시다발 테러 후 장쩌민 당시 중국 국가주석이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전보를 친 이후 처음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다만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24일 통화가 미국이 요청해서 이뤄진 통화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차기 연방준비제도 (Fed·연준) 의장 선출을 위한 후보자 면접을 이날 진행한다면서 "2차 라운드의 마지막 면접"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선트는 "매우 뛰어난 후보자 5명을 갖고 있으며, 그들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소개한 뒤 "대통령이 차기 의장을 크리스마스 전 발표할 매우 좋은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5명으로 좁혀진 차기 연준 의장 후보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미셸 보먼 연준 이사(은행 감독 부의장 겸임),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채권 부문 최고투자책임자 (CIO)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