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낮춰 달라는 유럽연합(EU)의 요구에 디지털 규제를 먼저 완화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현지 시간 24일 브뤼셀에서 열린 EU 통상 장관들과의 회담 후 기자들에게, 만약 디지털 규제와 관련해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이 제시되면 철강과·알루미늄 현안을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담은 지난 7월 EU와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 후 처음 이뤄진 양측 고위급 회동으로, EU는 50%에 달하는 현행 EU산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하와 와인, 파스타 등 다른 EU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요구할 계획이었습니다.
앞서 미국은 EU산 수입품에 관세율 15%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항공기와 복제약,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일부 품목은 관세를 면제해줬지만, EU 일부 회원국은 자국 주력 수출품도 면제 대상에 추가해달라고 요구해 왔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은 이런 요구에 대응해 EU 측에 먼저 디지털 부문 규정을 개정할 것을 압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구글,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들을 겨냥한 EU의 디지털시장법(DMA)과 디지털서비스법(DSA)을 비판해왔습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현지 시간 24일 브뤼셀에서 열린 EU 통상 장관들과의 회담 후 기자들에게, 만약 디지털 규제와 관련해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이 제시되면 철강과·알루미늄 현안을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담은 지난 7월 EU와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 후 처음 이뤄진 양측 고위급 회동으로, EU는 50%에 달하는 현행 EU산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하와 와인, 파스타 등 다른 EU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요구할 계획이었습니다.
앞서 미국은 EU산 수입품에 관세율 15%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항공기와 복제약,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일부 품목은 관세를 면제해줬지만, EU 일부 회원국은 자국 주력 수출품도 면제 대상에 추가해달라고 요구해 왔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은 이런 요구에 대응해 EU 측에 먼저 디지털 부문 규정을 개정할 것을 압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구글,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들을 겨냥한 EU의 디지털시장법(DMA)과 디지털서비스법(DSA)을 비판해왔습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