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전 세계 전기차 소유주 상당수가 정치적인 이유로 테슬라 차량 구매를 기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AFP 통신은 '글로벌 전기차 연합'이 세계 30개국의 2만 6천여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53%가 정치적인 이유로 특정 브랜드나 생산국을 불매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피하는 브랜드나 생산국을 구체적으로 묻는 항목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41%가 테슬라를, 12%는 중국을, 5%는 미국을 꼽았습니다.
응답자들 사이에서 테슬라에 대한 거부감이 특히 강하게 나타난 국가는 미국(52%), 독일(51%), 호주·뉴질랜드(45%) 순이었습니다.
전기차 보급률이 높은 노르웨이에서는 응답자의 43%가 테슬라를 피하겠다고 답한 반면, 인도에서는 같은 응답 비율이 2%에 그쳤습니다.
미국에서 테슬라에 대한 반감이 크게 나타난 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부 활동을 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유럽에서 테슬라에 대한 기피 현상이 나타난 것도 머스크 CEO가 유럽의 극우 진영을 지지한 것과 관련이 커 보인다고 AFP는 짚었습니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올해 들어 테슬라 불매 운동이 두드러지게 일어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겠다는 응답 비율도 지역별 차이가 컸습니다.
리투아니아 운전자의 43%가 중국산 전기차를 기피한다고 밝힌 반면, 이탈리아와 폴란드에서는 그 비율이 2%에 불과했습니다.
이 조사는 지난 9∼10월 진행됐으며, 각국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결과에 가중치가 적용됐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연합 운영위원회의 엘렌 히에프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놓고 "전기차에 대한 접근성과 관련이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히에프는 중국산 전기차가 테슬라 같은 고급 브랜드보다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흔하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에 비해 "유럽과 미국에선 선택지가 더 다양하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FP 통신은 '글로벌 전기차 연합'이 세계 30개국의 2만 6천여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53%가 정치적인 이유로 특정 브랜드나 생산국을 불매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피하는 브랜드나 생산국을 구체적으로 묻는 항목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41%가 테슬라를, 12%는 중국을, 5%는 미국을 꼽았습니다.
응답자들 사이에서 테슬라에 대한 거부감이 특히 강하게 나타난 국가는 미국(52%), 독일(51%), 호주·뉴질랜드(45%) 순이었습니다.
전기차 보급률이 높은 노르웨이에서는 응답자의 43%가 테슬라를 피하겠다고 답한 반면, 인도에서는 같은 응답 비율이 2%에 그쳤습니다.
미국에서 테슬라에 대한 반감이 크게 나타난 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부 활동을 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유럽에서 테슬라에 대한 기피 현상이 나타난 것도 머스크 CEO가 유럽의 극우 진영을 지지한 것과 관련이 커 보인다고 AFP는 짚었습니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올해 들어 테슬라 불매 운동이 두드러지게 일어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겠다는 응답 비율도 지역별 차이가 컸습니다.
리투아니아 운전자의 43%가 중국산 전기차를 기피한다고 밝힌 반면, 이탈리아와 폴란드에서는 그 비율이 2%에 불과했습니다.
이 조사는 지난 9∼10월 진행됐으며, 각국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결과에 가중치가 적용됐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연합 운영위원회의 엘렌 히에프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놓고 "전기차에 대한 접근성과 관련이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히에프는 중국산 전기차가 테슬라 같은 고급 브랜드보다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흔하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에 비해 "유럽과 미국에선 선택지가 더 다양하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