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외교 국장 오늘 회담…"오후 2시쯤 종료"
중국 측 "다카이치 발언, 중국 인민 공분 일으켜"
일본 측, ’타이완 군사 개입’ 총리 발언 해명
중국 측 "다카이치 발언, 중국 인민 공분 일으켜"
일본 측, ’타이완 군사 개입’ 총리 발언 해명
AD
[앵커]
일본 총리의 '타이완 개입'을 발언을 수습하기 위한 중일 외교 국장급 회담이 열렸습니다.
중국 당국은 일본 제한령 이른바 '한일령'에 시동을 걸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중국 연결합니다. 강정규 특파원!
[기자]
네, 베이징입니다.
[앵커]
양국 외교 국장급 회담 열렸습니까?
[기자]
일본 외무성이 베이징에 파견한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 현지시간 오후 2시쯤 중국 외교부 청사 밖으로 나갔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본 총리 발언이 중국 인민들의 공분을 샀다" 상대역인 중국 외교부 류진쑹 아시아 국장의 말로 보이는 내용도 속보로 떴습니다.
일본 측은 오늘 회담에서 이른바 '타이완 개입' 발언이 자국의 기존 입장과 다르지 않다고 해명한 거로 전해집니다.
동시에 일본 총리를 겨냥한 이른바 '참수' 발언을 SNS에 올렸다가 삭제한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에 대한 적절한 조치도 요구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또 입장 차이가 있더라도 인적 교류에 지장을 줘선 안 된다며 중국의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에 대한 철회도 요구할 방침이었습니다.
그러나 타이완을 중국의 영토이자 핵심이익으로 간주하는 중국, 일본 총리 망언부터 철회하라는 입장입니다.
어제 중국 외교부 브리핑에서도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은 합리적인 조치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남아공에서 열리는 G20 계기 양국 총리 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계획이 없다고 이례적으로 사전에 밝히며 일축했습니다.
[앵커]
중국 당국은 이른바 '한일령'에도 시동을 걸며 반일 여론 몰이에 나서고 있죠?
[기자]
극장판 '짱구는 못 말려'와 '일하는 세포' 등 수입 일본 영화 상영 중단이 공식화됐습니다.
중국 관영 CCTV가 중국 관객 정서를 평가해 내린 신중한 결정이라고 보도한 겁니다.
다만, 이런 와중에도 이미 14일 개봉한 일본 만화 '귀멸의 칼날'은 예매율 1위를 기록해 왔는데요.
CCTV는 이마저도 중국 관람객들의 반발에 따라 흥행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깎아내렸습니다.
앞서 당국의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에 업계는 항공권 무료 최소와 신규 관광 상품 판매 중단으로 호응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당국 주도로 '한일령'에 시동을 걸며 반일 여론을 부추기는 듯한 인상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주중 일본 대사관은 자국 교민들에게 "신변 안전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는데요.
그러나 2012년 일본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조치 때와 같은 대규모 반일시위나 불매운동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본 총리의 '타이완 개입'을 발언을 수습하기 위한 중일 외교 국장급 회담이 열렸습니다.
중국 당국은 일본 제한령 이른바 '한일령'에 시동을 걸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중국 연결합니다. 강정규 특파원!
[기자]
네, 베이징입니다.
[앵커]
양국 외교 국장급 회담 열렸습니까?
[기자]
일본 외무성이 베이징에 파견한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 현지시간 오후 2시쯤 중국 외교부 청사 밖으로 나갔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본 총리 발언이 중국 인민들의 공분을 샀다" 상대역인 중국 외교부 류진쑹 아시아 국장의 말로 보이는 내용도 속보로 떴습니다.
일본 측은 오늘 회담에서 이른바 '타이완 개입' 발언이 자국의 기존 입장과 다르지 않다고 해명한 거로 전해집니다.
동시에 일본 총리를 겨냥한 이른바 '참수' 발언을 SNS에 올렸다가 삭제한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에 대한 적절한 조치도 요구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또 입장 차이가 있더라도 인적 교류에 지장을 줘선 안 된다며 중국의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에 대한 철회도 요구할 방침이었습니다.
그러나 타이완을 중국의 영토이자 핵심이익으로 간주하는 중국, 일본 총리 망언부터 철회하라는 입장입니다.
어제 중국 외교부 브리핑에서도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은 합리적인 조치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남아공에서 열리는 G20 계기 양국 총리 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계획이 없다고 이례적으로 사전에 밝히며 일축했습니다.
[앵커]
중국 당국은 이른바 '한일령'에도 시동을 걸며 반일 여론 몰이에 나서고 있죠?
[기자]
극장판 '짱구는 못 말려'와 '일하는 세포' 등 수입 일본 영화 상영 중단이 공식화됐습니다.
중국 관영 CCTV가 중국 관객 정서를 평가해 내린 신중한 결정이라고 보도한 겁니다.
다만, 이런 와중에도 이미 14일 개봉한 일본 만화 '귀멸의 칼날'은 예매율 1위를 기록해 왔는데요.
CCTV는 이마저도 중국 관람객들의 반발에 따라 흥행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깎아내렸습니다.
앞서 당국의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에 업계는 항공권 무료 최소와 신규 관광 상품 판매 중단으로 호응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당국 주도로 '한일령'에 시동을 걸며 반일 여론을 부추기는 듯한 인상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주중 일본 대사관은 자국 교민들에게 "신변 안전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는데요.
그러나 2012년 일본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조치 때와 같은 대규모 반일시위나 불매운동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