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뉴욕 유가는 원유 공급 증가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소폭 상승했습니다.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11% 오른 배럴당 61.05달러에 거래를 마감하며 상승세를 4거래일째로 연장했습니다.
석유 수출국 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소속 8개국은 지난 2일 화상회의를 열어 내년 1분기에는 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8개국 에너지 장관들은 12월 원유 생산량은 하루 13만7천 배럴 늘리기로 했는데 12월 증산 폭은 10~11월과 같은 규모로, 지난 8~9월 54만7천 배럴에 비하면 작습니다.
ING는 OPEC+가 특히 내년 초에 시장이 직면할 대규모 공급 과잉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또 "공급 과잉의 규모에 대해서는 물론 많은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으며, 이는 미국의 제재가 러시아 원유 공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SEB 은행은 보고서에서 이번 결정이 예상되는 공급 과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는 OPEC+가 유가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았음을 보여준다"고 진단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11% 오른 배럴당 61.05달러에 거래를 마감하며 상승세를 4거래일째로 연장했습니다.
석유 수출국 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소속 8개국은 지난 2일 화상회의를 열어 내년 1분기에는 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8개국 에너지 장관들은 12월 원유 생산량은 하루 13만7천 배럴 늘리기로 했는데 12월 증산 폭은 10~11월과 같은 규모로, 지난 8~9월 54만7천 배럴에 비하면 작습니다.
ING는 OPEC+가 특히 내년 초에 시장이 직면할 대규모 공급 과잉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또 "공급 과잉의 규모에 대해서는 물론 많은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으며, 이는 미국의 제재가 러시아 원유 공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SEB 은행은 보고서에서 이번 결정이 예상되는 공급 과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는 OPEC+가 유가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았음을 보여준다"고 진단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