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국빈 방한에서 한국 측의 극진한 환대를 받고 북한과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다졌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현지 시간 29일 온라인판에 게재한 기사에서 세밀하게 기획된 한국 측의 각종 환영 의례를 경험한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한 간에 수십 년간 이어진 적대를 종식하겠다고 다짐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별난 취향과 성격을 간파한 한국 정부가 한반도 평화라는 대의를 위해 방한 행사를 영리하게 기획한 것이 트럼프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봤다는 겁니다.
뉴욕타임스는 "김해공항에서 비행기 밖으로 발을 내디딘 트럼프를 레드카펫과 귀청을 찢는 예포가 반겼다"면서 "한국 관리들이 트럼프의 특이한 취향에 어필하는 방식으로 환대했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두 번째로 국빈 방문한 첫 외국 정상으로,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이 대통령으로부터 한국의 무궁화 대훈장도 받았다고 소개했습니다.
상훈법상 무궁화 대훈장은 대한민국 최고 훈장으로, 대통령과 그 배우자, 우방 원수와 그 배우자 등에게 수여할 수 있습니다.
신문은 트럼프가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고 평화 조성자로서의 지속적 역할을 인정"하는 한국 최고 영예 훈장을 받고 '피스메이커 디저트' 포함 식사도 받았다"고 썼습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은 '당신의 위대한 역량을 이용해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낸다면 역사적 업적이 될 것'이라고 추켜세웠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NYT는 남북한은 지난 수십 년간 그래왔듯이 기술적으로는 여전히 전쟁 중이라면서, 이런 포상과 찬사는 "본질적으로 시기상조"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아시아 순방 과정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대화하고 싶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히며 적극적으로 구애 공세를 펼친 트럼프가 비록 김 위원장과 회동하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한국 측의 극진한 환대 속에 이뤄진 방문을 통해 북한을 국제무대로 끌어들이겠다는 의지를 더 다졌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NYT는 트럼프가 마지막 행사인 만찬을 마치면서 자신이 내세워온 피스메이커 역할에 이번 한국 방문이 영감을 줬음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이 아주 훌륭한 레드 카펫을 깔아주신 데 대해 정말 감사드리며 이번 여행을 잊지 않겠다"면서 "여러분은 그리 친절하지 않은 이웃(북한)을 뒀지만, 그들이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타임스는 현지 시간 29일 온라인판에 게재한 기사에서 세밀하게 기획된 한국 측의 각종 환영 의례를 경험한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한 간에 수십 년간 이어진 적대를 종식하겠다고 다짐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별난 취향과 성격을 간파한 한국 정부가 한반도 평화라는 대의를 위해 방한 행사를 영리하게 기획한 것이 트럼프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봤다는 겁니다.
뉴욕타임스는 "김해공항에서 비행기 밖으로 발을 내디딘 트럼프를 레드카펫과 귀청을 찢는 예포가 반겼다"면서 "한국 관리들이 트럼프의 특이한 취향에 어필하는 방식으로 환대했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두 번째로 국빈 방문한 첫 외국 정상으로,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이 대통령으로부터 한국의 무궁화 대훈장도 받았다고 소개했습니다.
상훈법상 무궁화 대훈장은 대한민국 최고 훈장으로, 대통령과 그 배우자, 우방 원수와 그 배우자 등에게 수여할 수 있습니다.
신문은 트럼프가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고 평화 조성자로서의 지속적 역할을 인정"하는 한국 최고 영예 훈장을 받고 '피스메이커 디저트' 포함 식사도 받았다"고 썼습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은 '당신의 위대한 역량을 이용해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낸다면 역사적 업적이 될 것'이라고 추켜세웠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NYT는 남북한은 지난 수십 년간 그래왔듯이 기술적으로는 여전히 전쟁 중이라면서, 이런 포상과 찬사는 "본질적으로 시기상조"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아시아 순방 과정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대화하고 싶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히며 적극적으로 구애 공세를 펼친 트럼프가 비록 김 위원장과 회동하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한국 측의 극진한 환대 속에 이뤄진 방문을 통해 북한을 국제무대로 끌어들이겠다는 의지를 더 다졌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NYT는 트럼프가 마지막 행사인 만찬을 마치면서 자신이 내세워온 피스메이커 역할에 이번 한국 방문이 영감을 줬음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이 아주 훌륭한 레드 카펫을 깔아주신 데 대해 정말 감사드리며 이번 여행을 잊지 않겠다"면서 "여러분은 그리 친절하지 않은 이웃(북한)을 뒀지만, 그들이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