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충돌 당시 자신이 양국에 2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해 휴전을 끌어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경주에서 열린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특별연설에서 자신이 두 나라 정상에게 전화해 이같이 압박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전화해 파키스탄과 전쟁을 하는 한 "당신과 무역협상을 할 수 없다"고 말했고, 파키스탄에도 비슷한 전화를 했더니 양측 모두 "우리가 싸우게 내버려 두라"라고 반응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2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이는 당신이 결코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양측 모두 '우리가 싸우도록 내버려 둬야 해'라고 했지만, 이틀 뒤 그들이 전화해서 '우리는 이해했다'고 하더니 교전을 멈췄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강경한(tough)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모디 총리는 정말 착해 보이는 사람"이라면서도 사실은 '킬러'이며 "엄청나게 강경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5월 초순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투기·무인기(드론) 등을 동원한 공중전과 포격을 주고받으면서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사흘 만에 휴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무역을 지렛대 삼아 휴전을 중재했다고 밝혔지만, 인도 정부는 그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면서 반발해왔습니다.
지난 6월 인도 정부는 성명에서 "모디 총리는 인도가 과거에도 제삼자 중재를 받아들인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결코 그럴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때 가까웠던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문제를 들어 지난 8월부터 인도에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또 모디 총리가 지난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 이례적으로 불참한 것도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파키스탄에 대해 언급할까 봐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경주에서 열린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특별연설에서 자신이 두 나라 정상에게 전화해 이같이 압박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전화해 파키스탄과 전쟁을 하는 한 "당신과 무역협상을 할 수 없다"고 말했고, 파키스탄에도 비슷한 전화를 했더니 양측 모두 "우리가 싸우게 내버려 두라"라고 반응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2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이는 당신이 결코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양측 모두 '우리가 싸우도록 내버려 둬야 해'라고 했지만, 이틀 뒤 그들이 전화해서 '우리는 이해했다'고 하더니 교전을 멈췄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강경한(tough)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모디 총리는 정말 착해 보이는 사람"이라면서도 사실은 '킬러'이며 "엄청나게 강경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5월 초순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투기·무인기(드론) 등을 동원한 공중전과 포격을 주고받으면서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사흘 만에 휴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무역을 지렛대 삼아 휴전을 중재했다고 밝혔지만, 인도 정부는 그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면서 반발해왔습니다.
지난 6월 인도 정부는 성명에서 "모디 총리는 인도가 과거에도 제삼자 중재를 받아들인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결코 그럴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때 가까웠던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문제를 들어 지난 8월부터 인도에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또 모디 총리가 지난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 이례적으로 불참한 것도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파키스탄에 대해 언급할까 봐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