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오던 국제 금값이 5% 넘게 급락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으로 21일 오후 1시 45분 기준 온스당 4천115.26달러로, 전장 대비 5.5% 하락했습니다.
팬데믹 기간이던 2020년 8월 이후 일간 기준 가장 큰 하락 폭이라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금 선물 가격도 급락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4천109.1달러로, 전장 대비 5.7% 내렸습니다.
국제 금 가격은 상승행진을 지속하면서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올랐고, 전날에도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4천381달러 선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금값이 단기간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해온 상황에서 미국 기업들이 3분기 호실적을 이어감에 따라 투자심리가 회복된 게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로 이어지면서 단기적 차익 실현 성격의 매도세를 촉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금 매수 주체인 인도가 최대 힌두교 축제 '디왈리'를 맞아 휴장한 것도 이날 유동성 부족에 따른 하락 요인을 제공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이번 주 들어 개선된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안전자산 귀금속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국제 은 현물은 이날 같은 시간 전장 대비 7.6% 급락한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돼 낙폭이 더욱 컸습니다.
투자자들은 오는 24일로 예정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중단,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됐지만, 미 노동통계국은 원래 발표가 예정됐던 10월 15일보다 9일 지연된 24일 CPI 지표를 발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28∼29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가운데 CPI는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은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실질금리가 하락할 경우 금값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으로 21일 오후 1시 45분 기준 온스당 4천115.26달러로, 전장 대비 5.5% 하락했습니다.
팬데믹 기간이던 2020년 8월 이후 일간 기준 가장 큰 하락 폭이라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금 선물 가격도 급락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4천109.1달러로, 전장 대비 5.7% 내렸습니다.
국제 금 가격은 상승행진을 지속하면서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올랐고, 전날에도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4천381달러 선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금값이 단기간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해온 상황에서 미국 기업들이 3분기 호실적을 이어감에 따라 투자심리가 회복된 게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로 이어지면서 단기적 차익 실현 성격의 매도세를 촉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금 매수 주체인 인도가 최대 힌두교 축제 '디왈리'를 맞아 휴장한 것도 이날 유동성 부족에 따른 하락 요인을 제공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이번 주 들어 개선된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안전자산 귀금속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국제 은 현물은 이날 같은 시간 전장 대비 7.6% 급락한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돼 낙폭이 더욱 컸습니다.
투자자들은 오는 24일로 예정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중단,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됐지만, 미 노동통계국은 원래 발표가 예정됐던 10월 15일보다 9일 지연된 24일 CPI 지표를 발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28∼29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가운데 CPI는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은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실질금리가 하락할 경우 금값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