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 배후' 천즈 회장 실종설...은행에선 '뱅크런'

'캄보디아 범죄 배후' 천즈 회장 실종설...은행에선 '뱅크런'

2025.10.18. 오후 1: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캄보디아에서 대규모 사기범죄 단지를 운영해 막대한 부를 쌓은 것으로 알려진 프린스그룹 천즈 회장이 자취를 감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캄보디아데일리 등 현지 매체는 미국과 영국 정부가 지난 14일 프린스그룹에 대한 제재를 발표한 가운데 천즈 회장 행방이 묘연해 실종설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천즈 회장은 캄보디아 최고 실세인 훈 센 전 총리의 고문을 맡는 등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해왔지만, 미국과 중국 당국은 천즈 회장과 프린스그룹에 대한 법적 제재를 추진해 왔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천즈 회장을 온라인 금융사기와 자금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했으며 유죄 확정시 최대 40년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습니다.

미 법무부는 천즈 회장이 보유해온 150억 달러, 약 2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 12만7천여 개를 몰수하기 위한 소송도 제기했습니다.

중국 당국도 프린스그룹이 사기범죄로 불법 수입을 올린 것으로 보고 2020년 특별수사팀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선 천즈 회장의 캄보디아 시민권 박탈과 중국 송환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현재 소재지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천즈 회장은 지난해 12월 프린스그룹 계열 프린스은행 이사회 의장직에서도 물러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범죄단지 배후로 지목되는 프린스그룹 등에 대한 압박과 제재가 가해지자 프린스은행에서는 '뱅크런' 조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 정부의 강력한 제재 이후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주요 지점에는 예금을 인출하려는 고객들이 몰려 혼란이 빚어졌습니다.

프린스은행은 "캄보디아 중앙은행의 감독과 규제 하에 독립적이고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모든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캄보디아 등지에서 부동산, 금융, 호텔, 통신 등 광범위한 사업을 하는 프린스그룹은 카지노와 사기 작업장 단지를 건설하고 대리인을 세워 운영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이 감금돼 보이스피싱 등 사기에 동원된 프놈펜 인근 범죄단지 '태자 단지'도 프린스그룹이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87년 중국에서 태어난 천즈 회장은 2014년 캄보디아 국적을 취득하고 정계와 유착해 급속도로 사업을 확장해왔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