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컬럼비아대 '친팔레스타인 시위' 학생 70여 명 징계..."압력에 굴복" 비판

미국 컬럼비아대 '친팔레스타인 시위' 학생 70여 명 징계..."압력에 굴복" 비판

2025.07.23. 오후 7:3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대학가 전체를 휩쓸었던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의 진원지로 꼽히는 컬럼비아대가 시위에 가담한 학생 수십 명에게 징계를 내렸다고 CNN이 보도했습니다.

학생들은 작년과 올해 초에 걸쳐 교내 버틀러 도서관 등에서 가자지구 전쟁에 반대하는 격렬한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이런 처분을 받게 됐습니다.

컬럼비아대는 성명을 통해 징계 방침을 밝히면서 "개인별 징계 결과를 공개하진 않지만, 버틀러 도서관에서 발생한 사건 관련 징계에는 근신, 정학 1∼3년, 학위 박탈, 퇴학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학사 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는 대학 정책과 규정을 위반하는 것이며, 이러한 위반에는 상응하는 결과가 따른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은 70명 이상이 징계를 받았고 이 중 약 80%가 2년 이상의 정학, 퇴학, 학위 박탈 처분을 받았다고 CNN에 말했습니다.

이번 징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끊은 대규모 재정 지원금을 복원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나온 조치라고 CNN은 짚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내 반유대주의를 단속하라고 압박하며 컬럼비아와 하버드 등 주요 대학에 자금 지원을 끊겠다고 위협해왔습니다.

특히 친팔레스타인 시위 진앙으로 지목된 컬럼비아대를 상대로는 올해 초 4억 달러(약 5천5백억 원) 규모 연방 보조금 지급을 취소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원금을 취소하면서 컬럼비아대 측에 주동 학생 징계 등을 요구했으며, 학교 측은 요구 사항을 대부분 받아들였습니다.

CNN에 따르면, 컬럼비아대는 수 개월간의 협상 끝에 트럼프 행정부와 지원금 복원 관련 합의에 거의 도달한 상태입니다.

대학이 일정 금액을 합의금으로 내고 일부 제도를 개편하는 조건으로 연방 보조금을 복원하는 협상안 논의가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학생 징계를 두고 시민단체 등에선 지나친 조치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미·이슬람 관계 위원회(CAIR) 뉴욕지부의 아파프 내셔 사무국장은 "극단적으로 억압적 조치"라며 "학생들은 집단 학살에 대한 대학의 방조를 중단하라는 요구에 연대하며 앉아있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컬럼비아대는 정치적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표현의 자유와 고등교육의 가치를 훼손한 수준을 넘어 도덕성, 학문적 진실성, 학생에 대한 책무까지 내던진 행위"라고 지적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