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과 일본이 다음 달 1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극적으로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미국은 일본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예고했던 25%에서 15%로 낮췄고, 일본은 760조 원의 대규모 미국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도 15%로 대폭 하향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2일 SNS를 통해 "일본과 대규모 합의를 완료했다"면서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일본은 미국에 5천500억 달러, 약 760조 원을 투자하고 이 중 90%의 수익을 미국이 받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일부 농산물 등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열린 백악관 행사에서 알래스카의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관련해, 일본이 미국과 합작법인을 설립할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에 이르렀다"며 미국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모두 15%로 인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합의에 농산물 관세 인하는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농업을 희생시키는 것은 일절 들어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산 쌀 수입과 관련해서는 "일본 정부가 의무적으로 수입하는 최소시장접근(MMA) 물량 제도의 틀 안에서 미국산 비율을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철강·알루미늄 관세의 경우 기존에 적용됐던 50%가 유지됐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상호관세 15%는 대미 무역흑자 국가 중에는 지금까지 가장 낮은 것"이라면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일본이 다른 나라보다 나쁜 대우를 받지 않는다는 확약을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은 일본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예고했던 25%에서 15%로 낮췄고, 일본은 760조 원의 대규모 미국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도 15%로 대폭 하향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2일 SNS를 통해 "일본과 대규모 합의를 완료했다"면서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일본은 미국에 5천500억 달러, 약 760조 원을 투자하고 이 중 90%의 수익을 미국이 받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일부 농산물 등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열린 백악관 행사에서 알래스카의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관련해, 일본이 미국과 합작법인을 설립할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에 이르렀다"며 미국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모두 15%로 인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합의에 농산물 관세 인하는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농업을 희생시키는 것은 일절 들어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산 쌀 수입과 관련해서는 "일본 정부가 의무적으로 수입하는 최소시장접근(MMA) 물량 제도의 틀 안에서 미국산 비율을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철강·알루미늄 관세의 경우 기존에 적용됐던 50%가 유지됐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상호관세 15%는 대미 무역흑자 국가 중에는 지금까지 가장 낮은 것"이라면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일본이 다른 나라보다 나쁜 대우를 받지 않는다는 확약을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