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의 2대 도시 오쉬에 세워진 블라디미르 레닌 동상이 철거됐습니다.
AP통신 등은 오쉬의 중앙광장에 있던 레닌 동상이 7일 별다른 행사 없이 기중기 등을 동원한 시 당국에 의해 철거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이 옛 소련 공화국이던 1975년에 세워진 이 동상은 높이 23m로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땅바닥에 눕혀있는 레닌 동상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을 비롯한 옛 소련 구성국들은 소련 시절 세워진 동상을 철거하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1991년 소련 붕괴 후 독립한 국가들이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여겨집니다.
이 나라들은 러시아어 발음의 도시 이름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오쉬시 당국은 이번 동상 철거와 관련한 성명에서 도시 미관 개선을 위한 것이며 동상을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자리에 깃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은 19세기 당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뒤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옛 소련 내 공화국이 됐습니다.
러시아는 소련 해체 후 키르기스스탄에 군기지를 둔 채 중앙아시아를 둘러싸고 중국, 서방과 영향력 확대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통신 등은 오쉬의 중앙광장에 있던 레닌 동상이 7일 별다른 행사 없이 기중기 등을 동원한 시 당국에 의해 철거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이 옛 소련 공화국이던 1975년에 세워진 이 동상은 높이 23m로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땅바닥에 눕혀있는 레닌 동상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을 비롯한 옛 소련 구성국들은 소련 시절 세워진 동상을 철거하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1991년 소련 붕괴 후 독립한 국가들이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여겨집니다.
이 나라들은 러시아어 발음의 도시 이름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오쉬시 당국은 이번 동상 철거와 관련한 성명에서 도시 미관 개선을 위한 것이며 동상을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자리에 깃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키르기스스탄은 19세기 당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뒤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옛 소련 내 공화국이 됐습니다.
러시아는 소련 해체 후 키르기스스탄에 군기지를 둔 채 중앙아시아를 둘러싸고 중국, 서방과 영향력 확대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