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한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주한미군을 괌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건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내에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홍상희 특파원!
미국이 주한미군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건데요.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입니까?
[기자]
미국 국방부가 공식 발표한 내용은 아닙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천500명을 한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체 28,500명 주한미군의 16%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주한미군을 철수해 미국 영토인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건데요.
월스트리트저널은 두 명의 국방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이런 구상이 북한 문제에 대한 비공식 정책 검토에서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것이 아니고, 고위 관리들이 논의하고 있는 여러 아이디어 가운데 하나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방부 대변인은 주한미군 철수 논의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오늘은 어떤 정책 발표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는데요.
피트 응우옌 미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주한미군 철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 국방부가 관련 내용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밝혔는데요.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앵커]
주한미군 감축 보도가 나온 배경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주한미군의 일부 규모를 철수해 중국 견제에 더 유리한 영역에 투입하겠다는 의도로도 평가되는데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본토 방어와 중국의 타이완 침공 억제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러시아아 북한, 이란의 위협의 해당 지역 동맹에 최대한 맡긴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집권 1기때부터 방위비 분담금의 대폭 인상과 주한미군 감축을 거론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한국을 머니머신으로 지칭하면서 한국이 방위비를 연간 100억 달러, 약 14조원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와 통화한 뒤에도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지불을 논의했다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련 발언을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지난달 9일) : 철수도 가능하죠. 우리는 유럽에 있는 군대에 돈을 대지만 보전받지 못합니다. 한국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지난달 10일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인도태평양사령관과 주한미군사령관은 주한미군 감축에 반대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으로 동북아에서 분쟁이 일어나면 중국과 러시아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겁니다.
당시 발언을 들어보시죠.
[새뮤얼 퍼파로 / 미군 인도·태평양사령관 (지난달) : 주한미군이 없어지면 김정은이 침공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 주한미군 감축은 문제가 됩니다. 주한미군은 동해에서 러시아가, 서해에선 중국이 대가를 치르게 할 잠재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철수를 고려할 경우 미군과 긴밀하게 공조하는 한국과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국가들을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나온 주한미군 감축 소식에 차기 정부는 출발과 함께 관세협상은 물론 주한미군 감축과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준비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한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주한미군을 괌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건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내에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홍상희 특파원!
미국이 주한미군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건데요.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입니까?
[기자]
미국 국방부가 공식 발표한 내용은 아닙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천500명을 한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체 28,500명 주한미군의 16%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주한미군을 철수해 미국 영토인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건데요.
월스트리트저널은 두 명의 국방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이런 구상이 북한 문제에 대한 비공식 정책 검토에서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것이 아니고, 고위 관리들이 논의하고 있는 여러 아이디어 가운데 하나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방부 대변인은 주한미군 철수 논의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오늘은 어떤 정책 발표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는데요.
피트 응우옌 미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주한미군 철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 국방부가 관련 내용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밝혔는데요.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앵커]
주한미군 감축 보도가 나온 배경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주한미군의 일부 규모를 철수해 중국 견제에 더 유리한 영역에 투입하겠다는 의도로도 평가되는데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본토 방어와 중국의 타이완 침공 억제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러시아아 북한, 이란의 위협의 해당 지역 동맹에 최대한 맡긴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집권 1기때부터 방위비 분담금의 대폭 인상과 주한미군 감축을 거론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한국을 머니머신으로 지칭하면서 한국이 방위비를 연간 100억 달러, 약 14조원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와 통화한 뒤에도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지불을 논의했다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련 발언을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지난달 9일) : 철수도 가능하죠. 우리는 유럽에 있는 군대에 돈을 대지만 보전받지 못합니다. 한국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지난달 10일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인도태평양사령관과 주한미군사령관은 주한미군 감축에 반대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으로 동북아에서 분쟁이 일어나면 중국과 러시아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겁니다.
당시 발언을 들어보시죠.
[새뮤얼 퍼파로 / 미군 인도·태평양사령관 (지난달) : 주한미군이 없어지면 김정은이 침공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 주한미군 감축은 문제가 됩니다. 주한미군은 동해에서 러시아가, 서해에선 중국이 대가를 치르게 할 잠재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철수를 고려할 경우 미군과 긴밀하게 공조하는 한국과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국가들을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나온 주한미군 감축 소식에 차기 정부는 출발과 함께 관세협상은 물론 주한미군 감축과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준비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