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뉴저지주 철도 노조가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서 미 동부 시각 16일 새벽부터 뉴저지주 교통 공사(NJ Transit)가 운영하는 철도 운행이 전면 중단됐습니다.
뉴저지주 교통 공사는 철도 기관사 노조(BLET)의 파업으로 공사 관할 모든 열차 운행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기관사 노조의 뉴저지주 파업은 1983년 이후 42년 만에 처음입니다.
철도 기관사 노조는 뉴저지주 교통 공사와 임금 협상을 벌여오다가 협상이 결렬되면서 16일 오전 0시 1분을 기해 파업 돌입을 선언했습니다.
마크 월러스 노조위원장은 성명에서 "뉴저지주 교통 공사가 공정한 계약을 제시하면 파업은 즉시 끝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원들은 같은 철도 플랫폼을 공유하는 다른 통근 철도의 기관사와 동일한 임금을 받기를 원할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면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공사의 재정 파탄을 막으면서도 인근 뉴욕주 기관사와 사실상 같은 수준의 임금 안을 제시했는데도 노조가 이를 거절했다고 맞섰습니다.
뉴저지주 교통 공사가 관할하는 뉴저지주와 뉴욕 맨해튼을 잇는 열차 구간은 미국 전역에서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구간으로 꼽힙니다.
이용객 1위 구간은 뉴욕시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TA)이 운영하는 롱아일랜드 레일로드(LIRR), 2위 구간은 메트로-노스 레일로드입니다.
뉴저지주 교통공사 측은 이번 파업으로 하루 약 35만 명의 통근객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파업 첫날 아침 통근객들은 뉴욕으로 출근하기 위해 요금이 훨씬 비싼 전미 여객 철도공사(Amtrak) 열차를 이용하거나 버스, 페리 등을 이용하느라 분주했다고 전했습니다.
뉴저지주 교통 공사는 철도 파업으로 버스 증편 등 비상 계획에 착수했다면서도 버스 시스템이 철도 이용객의 약 20%만 수용할 수 있다며 재택근무가 가능한 경우 집에 머물러 달라고 권고했습니다.
이번 파업은 장기화할 경우 뉴욕과 뉴저지 간 출근길 혼란이 키울 전망이지만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물 노선이 아닌 소규모 여객 철도에서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합의안 강제 권한이 있는 연방 의회가 개입에 나설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분석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저지주 교통 공사는 철도 기관사 노조(BLET)의 파업으로 공사 관할 모든 열차 운행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기관사 노조의 뉴저지주 파업은 1983년 이후 42년 만에 처음입니다.
철도 기관사 노조는 뉴저지주 교통 공사와 임금 협상을 벌여오다가 협상이 결렬되면서 16일 오전 0시 1분을 기해 파업 돌입을 선언했습니다.
마크 월러스 노조위원장은 성명에서 "뉴저지주 교통 공사가 공정한 계약을 제시하면 파업은 즉시 끝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원들은 같은 철도 플랫폼을 공유하는 다른 통근 철도의 기관사와 동일한 임금을 받기를 원할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면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공사의 재정 파탄을 막으면서도 인근 뉴욕주 기관사와 사실상 같은 수준의 임금 안을 제시했는데도 노조가 이를 거절했다고 맞섰습니다.
뉴저지주 교통 공사가 관할하는 뉴저지주와 뉴욕 맨해튼을 잇는 열차 구간은 미국 전역에서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구간으로 꼽힙니다.
이용객 1위 구간은 뉴욕시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TA)이 운영하는 롱아일랜드 레일로드(LIRR), 2위 구간은 메트로-노스 레일로드입니다.
뉴저지주 교통공사 측은 이번 파업으로 하루 약 35만 명의 통근객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파업 첫날 아침 통근객들은 뉴욕으로 출근하기 위해 요금이 훨씬 비싼 전미 여객 철도공사(Amtrak) 열차를 이용하거나 버스, 페리 등을 이용하느라 분주했다고 전했습니다.
뉴저지주 교통 공사는 철도 파업으로 버스 증편 등 비상 계획에 착수했다면서도 버스 시스템이 철도 이용객의 약 20%만 수용할 수 있다며 재택근무가 가능한 경우 집에 머물러 달라고 권고했습니다.
이번 파업은 장기화할 경우 뉴욕과 뉴저지 간 출근길 혼란이 키울 전망이지만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물 노선이 아닌 소규모 여객 철도에서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합의안 강제 권한이 있는 연방 의회가 개입에 나설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분석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