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덤한 뉴욕 증시...경제 지표는 '불안불안' [앵커리포트]

무덤덤한 뉴욕 증시...경제 지표는 '불안불안' [앵커리포트]

2025.05.16. 오전 06: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혼조세, 요즘 뉴욕 증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간밤에도 뉴욕 3대 지수는 상승과 하락으로 엇갈렸는데요,

그래도 전반적인 흐름을 보자면 조금씩 고점을 높여가는 분위기는 있습니다.

최근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다우 지수는 0.65% 올랐고요,

벤치마크 지수인 S&P500은 0.41% 상승했습니다.

반대로 최근 오름세가 눈에 띄었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0.18% 소폭이지만 조정을 받았습니다.

시장이 이런 반응을 보이면서 월가에선 신중한 낙관론이 나오는데요,

경제 지표에선 불안한 부분이 많이 보입니다.

미국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소비죠.

이걸 보여주는 지난달 소매판매 지표가 나왔는데요,

한 달 전보다 0.1% 증가했습니다.

예상치였던 보합보단 상황이 낫긴 한데, 3월 증가율이 1.7%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소비 둔화가 확연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관세 부과 전에 소비를 늘린 부분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론 경기에 대한 신중한 분위기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4월 생산자물가, 그러니까 도매물가는 급락했습니다.

지난 2020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인데요,

물가라는 건 적당히 올라줘야지, 낮아지는 건 급격한 인플레이션만큼 위험하다고 하죠.

그럼 왜 하락했냐.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내용을 보면 유통 서비스 쪽 물가가 특히 많이 떨어졌는데요,

이건 유통업체가 관세 정책에 따라 가격을 높이지 않고,

이익 감소를 감내하면서 물건을 팔았다는 뜻입니다.

계속 이렇게 갈 수 있을까요?

지난달 산업생산은 그냥 제자리걸음이었고요,

소폭이지만 증가할 것이라고 봤던 예상치도 밑돌았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생산은 1.9%나 줄어들었습니다.

지표 하나만 더 보죠.

미국 주택건설업체들이 시장을 보는 시선이 싸늘해졌다고 합니다.

이번 달 주택시장지수가 34로 한 달 전보다 6포인트 빠진 건데요,

고금리에 정책 불확실성의 여파로 풀이됩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유예로 상황이 나아진 건 분명하지만,

경계심을 놓아선 안 되는 시점입니다.

간밤에 눈에 띈 종목으론 월마트를 꼽아봤습니다.

주가는 소폭 하락이었는데요,

그래도 장 초반의 낙폭을 많이 줄이긴 했습니다.

월마트는 미국을 대표하는 대형 할인점이죠.

특히 저소득층 소비에 대단히 큰 영향을 주고받는 회사입니다.

지난 1분기 실적은 꽤 괜찮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생산자물가와 연관된 설명이 있었는데요,

월마트는 관세 부과에 따라 5월부턴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

145% 대중 관세보다 30%가 낫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소비자에겐 상당폭 가격 인상을 의미한다는 겁니다.

여러 측면에서 확실히 안심하기엔 일러 보입니다,

지금까지 3분 뉴욕증시였습니다.




YTN 조태현 (cho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