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콜린 파월 전 미국 국무장관,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배우 크리스 록 같은 유명 인사들이 최근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19에 잇따라 감염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이런 유명인사들의 돌파 감염 소식이 소셜미디어에서 백신 무용론과 가짜정보를 퍼뜨리는 '불씨'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형근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은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
젠 사키 대변인은 백신을 맞은 덕분에 다행히 가벼운 증상만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백신 무용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겐 이용하기 아주 좋은 사례였습니다.
SNS에는 "백신이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는 산증인"이라며 선동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파월 전 국무장관이 지난달 돌파 감염으로 숨졌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방송사 앵커가 백신 효능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습니다.
유명배우 크리스 록과 록스타 본 조비의 돌파 감염 소식도 백신에 대한 가짜정보를 퍼뜨리는 '불씨'로 사용됐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의 앤디 카빈 편집장은 이런 현상을 '의심의 무기화'라고 규정했습니다.
"돌파 감염은 항상 일어날 수 있는 일인데, 백신 무용론자들은 이 사례를 마음속에 존재하는 의심을 굳히는 또 다른 이유로 삼는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백신은 놀라운 기술이지만 '요술 방망이'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느 백신도 100% 완벽한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과장되거나 조작된 가짜정보에 사로잡혀 접종을 꺼리는 사람들이 대유행 극복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 : 백신을 맞을 자격이 있지만, 여전히 접종하지 않은 사람이 6천6백만 명이 있습니다. 감염자 수치가 계속 내려가는 정도는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가짜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민간회사에만 맡겨두지 말고, 정책적인 차원에서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YTN 김형근입니다.
YTN 김형근 (hk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콜린 파월 전 미국 국무장관,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배우 크리스 록 같은 유명 인사들이 최근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19에 잇따라 감염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이런 유명인사들의 돌파 감염 소식이 소셜미디어에서 백신 무용론과 가짜정보를 퍼뜨리는 '불씨'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형근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은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
젠 사키 대변인은 백신을 맞은 덕분에 다행히 가벼운 증상만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백신 무용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겐 이용하기 아주 좋은 사례였습니다.
SNS에는 "백신이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는 산증인"이라며 선동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파월 전 국무장관이 지난달 돌파 감염으로 숨졌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방송사 앵커가 백신 효능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습니다.
유명배우 크리스 록과 록스타 본 조비의 돌파 감염 소식도 백신에 대한 가짜정보를 퍼뜨리는 '불씨'로 사용됐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의 앤디 카빈 편집장은 이런 현상을 '의심의 무기화'라고 규정했습니다.
"돌파 감염은 항상 일어날 수 있는 일인데, 백신 무용론자들은 이 사례를 마음속에 존재하는 의심을 굳히는 또 다른 이유로 삼는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백신은 놀라운 기술이지만 '요술 방망이'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느 백신도 100% 완벽한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과장되거나 조작된 가짜정보에 사로잡혀 접종을 꺼리는 사람들이 대유행 극복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 : 백신을 맞을 자격이 있지만, 여전히 접종하지 않은 사람이 6천6백만 명이 있습니다. 감염자 수치가 계속 내려가는 정도는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가짜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민간회사에만 맡겨두지 말고, 정책적인 차원에서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YTN 김형근입니다.
YTN 김형근 (hk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