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헨나호텔 홈페이지 갈무리
AD
일본 도쿄의 한 호텔을 찾은 인플루언서가 '무인 호텔'에서 겪은 경험을 담은 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14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 인플루언서는 지난달 25일 도쿄에 위치한 '헨나호텔(Henn na Hotel)'을 방문했고, 체크인 과정 전반을 촬영한 영상을 SNS에 올렸다.
영상에는 유니폼을 입고 둥근 모자를 쓴 인간형 로봇들이 프런트 데스크에 줄지어 서서 손님을 응대하는 장면이 담겼다.
인플루언서는 프런트 앞에서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며 "날 보지 마, 날 보지 마"라고 말했고, 로봇에게 "당신 정말 무섭다"고 속삭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 반응이 인간과 흡사한 기계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불쾌한 골짜기' 현상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로봇들은 당황한 인플루언서 앞에서 아랑곳하지 않고 여권 스캔, 숙박 일정 확인, 객실 키카드 발급 등 체크인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했고, 기계음 섞인 목소리로 "체크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즐거운 투숙 되시길 바랍니다"라고 인사를 건넸다.
해당 영상은 공개 직후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며 조회수 8만 8,000회를 돌파했다. 누리꾼들은 "공포영화 같다", "뭔가 소름 돋는다", "그래도 사람보다 정확하게 응대할 것 같다" 등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헨나호텔은 201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세계 최초의 로봇 호텔로 문을 연 뒤, 현재는 도쿄·오사카·교토 등 일본 전역에 20여 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공룡 로봇이 손님을 맞는 도쿄 베이 마이하마 지점이나, AI음성 비서를 배치한 객실 등 특이한 콘셉트로 유명세를 탔다. 서울 명동과 뉴욕에도 지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적 완성도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SCMP는 헨나호텔이 로봇의 명령 인식 오류, 고객 불만 처리 미흡 등으로 인해 로봇 직원의 절반 이상을 운영에서 제외하고 사람 직원을 다시 고용했다고 전했다.
실제 숙박 리뷰 앱 등에서도 "로비에 사람이 없어 환영받는 기분이 들지 않았다", "전화기를 통해서만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후기가 올라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4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 인플루언서는 지난달 25일 도쿄에 위치한 '헨나호텔(Henn na Hotel)'을 방문했고, 체크인 과정 전반을 촬영한 영상을 SNS에 올렸다.
영상에는 유니폼을 입고 둥근 모자를 쓴 인간형 로봇들이 프런트 데스크에 줄지어 서서 손님을 응대하는 장면이 담겼다.
인플루언서는 프런트 앞에서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며 "날 보지 마, 날 보지 마"라고 말했고, 로봇에게 "당신 정말 무섭다"고 속삭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 반응이 인간과 흡사한 기계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불쾌한 골짜기' 현상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로봇들은 당황한 인플루언서 앞에서 아랑곳하지 않고 여권 스캔, 숙박 일정 확인, 객실 키카드 발급 등 체크인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했고, 기계음 섞인 목소리로 "체크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즐거운 투숙 되시길 바랍니다"라고 인사를 건넸다.
해당 영상은 공개 직후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며 조회수 8만 8,000회를 돌파했다. 누리꾼들은 "공포영화 같다", "뭔가 소름 돋는다", "그래도 사람보다 정확하게 응대할 것 같다" 등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헨나호텔 홈페이지 갈무리
헨나호텔은 201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세계 최초의 로봇 호텔로 문을 연 뒤, 현재는 도쿄·오사카·교토 등 일본 전역에 20여 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공룡 로봇이 손님을 맞는 도쿄 베이 마이하마 지점이나, AI음성 비서를 배치한 객실 등 특이한 콘셉트로 유명세를 탔다. 서울 명동과 뉴욕에도 지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적 완성도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SCMP는 헨나호텔이 로봇의 명령 인식 오류, 고객 불만 처리 미흡 등으로 인해 로봇 직원의 절반 이상을 운영에서 제외하고 사람 직원을 다시 고용했다고 전했다.
실제 숙박 리뷰 앱 등에서도 "로비에 사람이 없어 환영받는 기분이 들지 않았다", "전화기를 통해서만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후기가 올라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