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뒤흔든 코로나19...유럽 사망·확진, 중국 넘어서

지구촌 뒤흔든 코로나19...유럽 사망·확진, 중국 넘어서

2020.03.19. 오전 09: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유럽 전체 코로나19 사망자·확진자, 중국 넘어서
美 국민, 정부 지침에 따라 15일간 ’사회적 격리’
시진핑 "중국,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났다"
AD
■ 진행 : 이재윤 앵커, 이승민 앵커
■ 출연 : 조수현 국제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서 코로나19 피해가 확산하면서, 유럽 내 확진자와 사망자 모두 중국을 넘어섰습니다.

미국에서는 전 국민이 '사회적 격리'에 들어간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의 상황을 "중국 바이러스에 대항한 전쟁"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국제부 조수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유럽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습니다.

밤사이 늘어난 피해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유럽에서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심각한 국가는 이탈리아, 그다음은 스페인인데요.

먼저 이탈리아 소식부터 전해드리겠습니다.

하루 기준, 사망자 증가 수와 증가율 모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의 공식 집계인데요, 지난 하루 동안 475명이 추가로 숨졌습니다.

이에 따라 누적 사망자는 2,978명으로 늘었습니다.

확진자는 4천2백여 명 늘어, 지금까지 3만5천7백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스페인에서도 최근 2주 사이 피해가 급속히 확산하고 있는데요.

확진자는 만4천7백여 명, 사망자는 638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독일도 확진자가 만2천여 명, 프랑스는 9천여 명에 이릅니다.

유럽 전체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9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면서, 8만여 명의 중국보다 만 명이나 많아졌습니다.

유럽 내 사망자도 4천2백 명에 육박하면서, 3천2백여 명의 중국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앵커]
이탈리아에서는 의료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이탈리아 현지 의료 상황이 많이 열악합니다.

환자 대비 병실과 장비, 의료진 모두 턱없이 부족합니다.

바이러스 확산 거점인 롬바르디아의 경우, 중환자 병상이 800여 개인데요.

집중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는 천 명이 넘습니다.

최근 1주일 사이 4백 명이 숨진 베르가모 시는 사실상 중환자 치료 공간조차 없다고 합니다.

여기에, 의료진 감염 규모도 문제입니다.

확진 판정을 받은 의료진이 2천7백여 명에 이르는데요.

이들이 현장에서 배제되면서 의료진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정부는 올해 졸업을 앞둔 의대생 만여 명을 현장에 투입하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또, 축구장이나 페리 여객선 등을 임시 치료시설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앵커]
다른 유럽 국가들도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데,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기자]
국가별로 내부적으로는 이동 제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에 이어 스페인은 전국 봉쇄령을 내렸고요.

프랑스의 루브르나 에펠탑을 비롯해, 유럽의 관광 명소들은 줄줄이 폐쇄됐습니다.

이런 움직임과 더불어 국경 통제도 강화돼왔는데요.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서로 협의 없이 국경 봉쇄에 나서면서, 혼란이 커졌습니다.

특히, 의약품이나 식량 공급망까지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는데요.

그래서 EU 차원에서 단합된, 초강수 조치를 결정했습니다.

EU 회원국 국민이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30일간 EU 여행을 제한하는 건데요.

사실상 입국 금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그동안 회원국 간 보장돼온 자유 이동 체제와 '하나의 유럽'이라는 기치를 고수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미국 소식 살펴보죠. 최근 들어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데, 현지 분위기 어떤가요?

[기자]
미국도 코로나19로 인해 전례 없는 상황을 겪고 있습니다.

백악관의 지침에 따라, 전국적으로 15일간 '사회적 격리'에 들어간 상태인데요.

'Social distancing'이라고 표현되고 있습니다.

백악관이 발표한 생활 수칙에는 10명 이상의 모임과 불필요한 외출 자제, 홈스쿨링 권고 등이 포함됐습니다.

많은 음식점들도 휴업에 들어간 가운데, 슈퍼마켓이나 코스트코 매장이 위치한 쇼핑몰에는 혼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공포 심리와 함께, 사재기 현장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차장에 자리가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는가 하면, 매장 내에서도 필요한 물건이 품절됐거나, 계산대에서 2시간을 기다려야 했다는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코로나19는 50개 주 전체로 확대됐는데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은 뉴욕, 워싱턴, 캘리포니아 순입니다.

현재까지 미국 내 코로나19 환자는 7천 명을 넘어섰고요, 사망자는 118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는 존스홈킨스대학의 실시간 집계이고요.

또 다른 통계는 미국 내 누적 확진자를 9천2백여 명, 사망자는 150명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 정부 대응도 강화되고 있다고요?

[기자]
미국 정부의 코로나 TF를 총괄하는 건 마이크 펜스 부통령인데요.

최근 미국 내 상황이 악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에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자신을 '전시 대통령'이라고 지칭하며 총력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지금의 상황을 "중국 바이러스에 대항한 전쟁"이라고 규정하면서, 코로나19 물자 공급을 늘리는 데 필요한 '국방 물자 생산 법'을 발동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는 또, 캐나다와의 국경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기로 했는데요.

이 내용은 강태욱 워싱턴 특파원의 보도, 자세히 보시겠습니다.

[기자]
미국 내 감염자가 7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하루 새 천 명 이상씩 느는 상황입니다.

유럽에서 오는 여행객까지 막았지만 역부족입니다.

이번에는 북쪽 캐나다와의 국경을 닫기로 했습니다.

무역을 제외한 이동을 금지해 당분간 인적 교류로 인한 코로나19 확산을 막겠다는 취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상황이 전시상황과 같다며 전시 대통령으로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나는 어떤 의미에서 전시 대통령입니다. 우리는 지금 싸우고 있다는 뜻입니다.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전시에 민간 부문을 통제할 수 있는 '국방물자법'을 필요하면 발동하기로 했습니다.

코로나19 대응에 필요한 물자의 생산이 위축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또 미국 내 감염자가 가장 많은 뉴욕주에 천 병상 규모의 해군 병원선을 배치하고 서부에도 1척을 보내기로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뉴욕주는 병원 등을 제외한 모든 사업체의 직원을 절반 이하만 출근하도록 하는 조치까지 내놨습니다.

[앤드루 쿠오모 / 미국 뉴욕주지사 : 어떤 기업도 보고된 노동자의 50% 이상이 집 밖에서 일할 수 없다는 의무 사항을 주 전역에 발령합니다.]

또 라스베이거스가 있는 네바다주는 모든 카지노와 도박장의 문을 닫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 카지노가 합법화 이후 문을 닫는 것은 백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강태욱[taewookk@ytn.co.kr]입니다.

[앵커]
유럽과 미국의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코로나19 발병지인 중국은 많이 안정화된 모습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위기는 벗어났다는 게 중국 당국의 표현입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났다"고 언급했는데요.

중국 통계상으로도 진정세 국면을 지나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상황이 가장 심각했던 발병지 우한에서도 이제는 하루 확진자가 네다섯 명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7일 하루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13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12명이 해외 유입 환자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중국 당국은 역유입 차단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사태 초반에 중국 내 피해 규모가 워낙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난 만큼, 재확산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극도로 긴장한 상태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수도 베이징의 경우, 외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항공기 승객들을 별도의 지정 시설에서 14일 동안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중국 내부 통제는 점차 완화되는 가운데, 이처럼 '해외 역유입 차단'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국제부 조수현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