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박현덕 씨 (제공: 한국장기조직기증원)
AD
60대 춤꾼 겸 연극인이 뇌사상태에 빠져 5명의 생명을 살리고 세상을 떠났다.
15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박현덕(60) 씨가 지난 8월 부산 동아대학교병원에서 심장·폐·간·양측 신장과 인체 조직을 기증했다고 밝혔다. 인체 조직은 환자 100여명의 기능적 장애 회복에 활용될 예정이다.
박 씨는 수영 강습을 받던 도중 뇌출혈로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돼 응급 수술을 받았지만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해 뇌사 판정을 받았다. 그는 지난 2002년 기증원을 통해 장기기증 희망 등록을 신청했고 유족들도 동의해 기증이 이루어졌다.
박 씨는 동아대 풍물패에서 활동하다 대학 졸업 후에는 극단 '자갈치'에서 연기와 탈춤, 마당놀이를 했으며 이후에는 극단을 떠나 객원 배우와 예술 강사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지역 시민단체와 환경 살리기, 탈춤 등 민속 예술 계승에 힘쓰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공연 등을 진행했다. 10년 넘게 헌혈을 40번 이상 꾸준히 해 왔고 쉬는 날이면 농사를 지어 어려운 이웃에게 먹을 것을 나눠 주기도 했다고 유족은 전했다.
유족은 박 씨가 긍정적이고 밝은 성격으로 하고 싶은 일을 열정적으로 하면서도 함께 하는 이를 배려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고 추억했다.
고인의 아내 김혜라 씨는 "생명과 희망을 나눠 주고 자연에 순응하며 살고 싶다던 바람대로 떠나게 됐다"며 "무대에서 환하게 빛나던 당신을 기억한다. 사랑하고 고맙다"고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YTN digital 정윤주 (younju@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5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박현덕(60) 씨가 지난 8월 부산 동아대학교병원에서 심장·폐·간·양측 신장과 인체 조직을 기증했다고 밝혔다. 인체 조직은 환자 100여명의 기능적 장애 회복에 활용될 예정이다.
박 씨는 수영 강습을 받던 도중 뇌출혈로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돼 응급 수술을 받았지만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해 뇌사 판정을 받았다. 그는 지난 2002년 기증원을 통해 장기기증 희망 등록을 신청했고 유족들도 동의해 기증이 이루어졌다.
박 씨는 동아대 풍물패에서 활동하다 대학 졸업 후에는 극단 '자갈치'에서 연기와 탈춤, 마당놀이를 했으며 이후에는 극단을 떠나 객원 배우와 예술 강사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지역 시민단체와 환경 살리기, 탈춤 등 민속 예술 계승에 힘쓰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공연 등을 진행했다. 10년 넘게 헌혈을 40번 이상 꾸준히 해 왔고 쉬는 날이면 농사를 지어 어려운 이웃에게 먹을 것을 나눠 주기도 했다고 유족은 전했다.
유족은 박 씨가 긍정적이고 밝은 성격으로 하고 싶은 일을 열정적으로 하면서도 함께 하는 이를 배려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고 추억했다.
고인의 아내 김혜라 씨는 "생명과 희망을 나눠 주고 자연에 순응하며 살고 싶다던 바람대로 떠나게 됐다"며 "무대에서 환하게 빛나던 당신을 기억한다. 사랑하고 고맙다"고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YTN digital 정윤주 (younju@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