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에 대한 정부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최근 몇 년 새 외교부 자료만 봐도 한국 대상 범죄 신고는 급증합니다.
지난 2021년 4건에 불과하던 캄보디아 내 납치 피해 신고건수가 지난해 220건, 올해는 지난 8월까지 집계한 것만 330건으로 폭증한 겁니다.
외교당국이 몰랐을 리 없는데 조치는 미흡했습니다.
이렇게 이미 2년 전부터 처참한 사례를 잘 알면서도 여행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수준에 그치다가,
지난달에서야 취업 사기 범죄에 따른 '여행 자제' 경보를 발령했고요.
결국 국민이 목숨까지 잃는 사태가 벌어진 뒤인 나흘 전 특별여행주의보를 내립니다.
대응 인력도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 대상 범죄를 담당한 대사관의 경찰 인력은 줄곧 1명이었는데요.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1명씩 추가 투입했지만 대규모 조직적 범죄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주쯤 사태의 심각성을 알았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현실성이 없는 현지 대사관의 대응 매뉴얼도 이제서야 손보려는 분위기입니다.
피해자의 구조 요청에 "현지 경찰에 직접 신고하라"던 대응이 문제가 되자, 외교당국은 현지 경찰의 공식 요구라 어쩔 수 없다고 해명해왔는데요.
뒤늦게 캄보디아 경찰과 신고절차 개선 논의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는 겁니다.
사실 캄보디아 한국인 대상 범죄는 이미 지난해부터 언론에 보도되며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 드러난 사안이죠.
누리꾼들 사이에선 진즉에 이 문제를 두고 우리 정부를 향한 자조적 비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몇 년 새 외교부 자료만 봐도 한국 대상 범죄 신고는 급증합니다.
지난 2021년 4건에 불과하던 캄보디아 내 납치 피해 신고건수가 지난해 220건, 올해는 지난 8월까지 집계한 것만 330건으로 폭증한 겁니다.
외교당국이 몰랐을 리 없는데 조치는 미흡했습니다.
이렇게 이미 2년 전부터 처참한 사례를 잘 알면서도 여행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수준에 그치다가,
지난달에서야 취업 사기 범죄에 따른 '여행 자제' 경보를 발령했고요.
결국 국민이 목숨까지 잃는 사태가 벌어진 뒤인 나흘 전 특별여행주의보를 내립니다.
대응 인력도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 대상 범죄를 담당한 대사관의 경찰 인력은 줄곧 1명이었는데요.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1명씩 추가 투입했지만 대규모 조직적 범죄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주쯤 사태의 심각성을 알았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현실성이 없는 현지 대사관의 대응 매뉴얼도 이제서야 손보려는 분위기입니다.
피해자의 구조 요청에 "현지 경찰에 직접 신고하라"던 대응이 문제가 되자, 외교당국은 현지 경찰의 공식 요구라 어쩔 수 없다고 해명해왔는데요.
뒤늦게 캄보디아 경찰과 신고절차 개선 논의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는 겁니다.
사실 캄보디아 한국인 대상 범죄는 이미 지난해부터 언론에 보도되며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 드러난 사안이죠.
누리꾼들 사이에선 진즉에 이 문제를 두고 우리 정부를 향한 자조적 비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