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 없어지면 장기매매"...캄보디아 '웬치'서 무슨 일이

"쓸모 없어지면 장기매매"...캄보디아 '웬치'서 무슨 일이

2025.10.14. 오전 07:5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이미지 확대 보기
"쓸모 없어지면 장기매매"...캄보디아 '웬치'서 무슨 일이
캄보디아 한 범죄단지의 내부 모습. 남성의 손이 철제 침대에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AD
이른바 '웬치'로 불리는 캄보디아의 범죄단지에서 고문과 폭행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하루에 한 명꼴로 발생한다는 증언이 나왔다. 인신매매는 물론 더 이상 일을 시키거나 돈을 갈취할 수 없을 때는 장기매매까지 이뤄진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범죄단지에서 손톱을 뽑거나 손가락을 자르는 등 고문이 자행되며, 돈을 받고 다른 단지로 팔아넘기는 인신매매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규모는 단지별로 천차만별이며 그 안에서 로맨스스캠, 비상장주식, 해외선물, 공무원 사칭 보이스피싱 등이 이뤄진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수가 400개에 이른다는 주장도 나왔다.

관계자 A씨는 한국인이 범죄단지에 필요한 이유에 대해 "통장으로 범죄단지 수익을 세탁해주거나 한국인 대상 사기에 TM(텔레마케팅), 채팅, CS(고객서비스) 업무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캄보디아라고 다 같은 캄보디아가 아니다. 프놈펜, 시아누크빌과 달리 국경지대 쪽에 위치한 포이펫, 바벳은 캄보디아에서도 가장 위험하고 마지막으로 사람을 보내는 동네"라고 했다.

캄보디아에 거주하는 B씨는 "프놈펜이나 시아누크빌에서 일하다가 실적이 좋지 않거나 카지노에서 빚이 생기면 포이펫이나 바벳 같은 국경 지역으로 팔려 간다. 그런 사람들이 정말 많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로 출국했다가 지난 8월 숨진 대학생 박모 씨가 머물던 보코산 지역에 대해서는 "통상 통장을 팔러 가는 곳이고, 그러다 그곳에 갇혀 불법적인 일을 하게 되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는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이민국 구금시설의 내부 모습. ⓒ연합뉴스

B씨는 "폭행 당해서 숨지는 일이 드문 일은 아니다. 하루에 한 명꼴로 죽는다"라며 "한국인만 표적이 되는 건 아니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 등 국적은 다양하다"고 했다. 이어 "이들은 계속 맞다가 몸이 안 좋아져서 숨지기도 하고 일을 시키다가 실적을 못 내면 때리기도 한다. 통장을 팔러 왔는데 그 통장이 (지급정지로) 잠기면 손가락을 모두 잘라버리는 경우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범죄단지에 감금된 경험이 있는 C씨는 "관리자들의 텔레그램 방이 있는데 거기에 고문, 시체 사진이 참 많다. 그런 걸 자랑으로 생각하고 얘기하고, 나에게도 보여주며 '너도 말 안 들으면 이렇게 된다'고 했었다"라고 회상했다.

이렇게 폭행을 당하다 숨진 이들을 단지 내 소각장에 넣는다는 증언도 나왔지만, 소각장에서는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며 사람을 태운다는 이야기는 과장된 소문이라는 반박도 나왔다.

보이스피싱 범죄에 동원됐다가 이른바 '실적'을 내지 못하면 폭행을 당하다가 장기매매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A씨는 "빚을 졌는데 성과가 안 나면 장기를 파는 수밖에 없는데, 일단 안구부터 적출한다. 다른 장기는 이식자를 찾는 과정이 까다로운데 각막은 비교적 이식이 쉽고 단가도 꽤 비싸다"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캄보디아 내에서 장기매매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B씨는 "시아누크빌에 중국 병원이 엄청 많은데, 옛날에는 모두 장기 적출을 위해 사용했던 병원"이라며 "지금은 장기를 팔기보다 억지로 일을 시키고, 쓸 때까지 쓰이면 미얀마로 보낸다. 아마 미얀마에서 장기 적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