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민중기 김건희 특별검사팀이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용역업체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원희룡 전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 등 관련자를 연이어 출국 금지한 데에 이어, 수사에 속도를 내는 모양샙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준엽 기자!
[기자]
네 서울 광화문에 있는 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입니다.
[앵커]
특검이 어떤 곳을 압수 수색하고 있는지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특검은 오늘 오전부터 국토부를 비롯한 10여 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하고 있습니다.
양평고속도로 타당성 조사를 맡았던 용역업체들이나, 해당 업체 회장, 당시 담당 업무를 담당했던 공무원의 주거지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다만 앞서 출국 금지됐던 원희룡 전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의 경우 압수수색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양평고속도로의 기존 종점은 경기 양평군 양서면이었지만, 앞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지난 2022년 5월, 김 여사 일가 땅이 있는 강상면으로 변경되며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특검 출범 전인 앞서 지난 5월엔 경찰이 이와 관련해 국토부와 양평군청 등, 용역사 두 곳을 압수 수색했습니다.
[앵커]
특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로 불리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고요?
[기자]
네 '집사 게이트'의 골자는 대기업들이 김 여사와 가까운 사이였던 김 모 씨 관련 업체에 투자하며 '오너 리스크'를 해소하려 했는지 입니다.
김 씨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IMS모빌리티가 당시 부실기업이었는데도 184억 원 규모의 대가성 투자를 받은 거 아니냐는 겁니다.
특검은 이와 관련해, 해당 회사가 김 여사와 밀접한 관계로 널리 알려진 김 씨 지분을 숨기기 위해 위장 처분한 것이 아닌지도 추가로 의심하고 있는데요.
김 여사와의 관계 때문에 투자를 받기 어려워지자, 차명 법인을 세워 김 씨의 지분을 위장한 것 아니냐는 겁니다.
실제 IMS모빌리티 조 모 대표는 YTN 취재진과 만나, 김 씨가 차명 법인을 만든 것이 '눈 가리고 아웅'이라고 지적하자 김 씨가 차명 법인 지분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는데, 이 역시 김 씨와 친분이 있는 인물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투자금 중 46억 원이 이 차명 법인으로 흘러간 만큼, 특검도 이 법인의 성격과 김 씨와의 연결고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중기 김건희 특별검사팀이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용역업체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원희룡 전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 등 관련자를 연이어 출국 금지한 데에 이어, 수사에 속도를 내는 모양샙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준엽 기자!
[기자]
네 서울 광화문에 있는 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입니다.
[앵커]
특검이 어떤 곳을 압수 수색하고 있는지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특검은 오늘 오전부터 국토부를 비롯한 10여 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하고 있습니다.
양평고속도로 타당성 조사를 맡았던 용역업체들이나, 해당 업체 회장, 당시 담당 업무를 담당했던 공무원의 주거지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다만 앞서 출국 금지됐던 원희룡 전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의 경우 압수수색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양평고속도로의 기존 종점은 경기 양평군 양서면이었지만, 앞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지난 2022년 5월, 김 여사 일가 땅이 있는 강상면으로 변경되며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특검 출범 전인 앞서 지난 5월엔 경찰이 이와 관련해 국토부와 양평군청 등, 용역사 두 곳을 압수 수색했습니다.
[앵커]
특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로 불리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고요?
[기자]
네 '집사 게이트'의 골자는 대기업들이 김 여사와 가까운 사이였던 김 모 씨 관련 업체에 투자하며 '오너 리스크'를 해소하려 했는지 입니다.
김 씨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IMS모빌리티가 당시 부실기업이었는데도 184억 원 규모의 대가성 투자를 받은 거 아니냐는 겁니다.
특검은 이와 관련해, 해당 회사가 김 여사와 밀접한 관계로 널리 알려진 김 씨 지분을 숨기기 위해 위장 처분한 것이 아닌지도 추가로 의심하고 있는데요.
김 여사와의 관계 때문에 투자를 받기 어려워지자, 차명 법인을 세워 김 씨의 지분을 위장한 것 아니냐는 겁니다.
실제 IMS모빌리티 조 모 대표는 YTN 취재진과 만나, 김 씨가 차명 법인을 만든 것이 '눈 가리고 아웅'이라고 지적하자 김 씨가 차명 법인 지분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는데, 이 역시 김 씨와 친분이 있는 인물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투자금 중 46억 원이 이 차명 법인으로 흘러간 만큼, 특검도 이 법인의 성격과 김 씨와의 연결고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