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유튜브 채널 '스웨국인'
AD
국내에서 활동하는 스웨덴인 유튜버가 태극기와 무궁화 문신을 했다는 이유로 일본 공항에서 취조를 당하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은 사실을 뒤늦게 털어놨다.
스웨덴 국적 유튜버 존 칼 헨리는 지난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스웨국인'을 통해 1년 전 일본 공항에서 태극기와 무궁화 문신을 했다는 이유로 끌려가 취조를 당한 사실을 밝혔다.
당시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헨리는 일주일 동안 일본 여행을 가기 위해 이 공항을 찾았다. 그는 비자 발급도 필요 없고 숙소도 다 예약돼 있어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본 입국 심사장에서 여권을 검사하던 일본인 직원이 문신이 새겨진 헨리의 팔을 가리키며 "이게 무슨 문신이냐"고 물었다고 한다.
헨리는 "상상도 못할만큼 차갑고 무서운 목소리로 '왜 외국인이 한국 상징을 문신으로 새기냐'고 물었다"며 "문신을 역겹게 쳐다보면서 '이건 보통 한국인만 한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에 헨리는 일본인 직원에게 "한국에서 7년을 보내는 동안 정말 많은 걸 배웠다"며 "제가 한국이라는 나라에 얼마나 깊이 애정을 가지게 됐는지 영원히 몸에 새기고 싶었다"고 문신을 새긴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 일본인 직원이 자신을 보안 인터뷰방으로 데리고 갔다고 헨리는 덧붙였다.
헨리는 "들어가는 순간 손에 식은땀이 줄줄 났다"며 "하얀 벽에 카메라 돌아가고 있고, 책상 하나, 직원 2명이 있었다. 진짜 북한 온 줄 알았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이 방에서 직원들은 30분 동안 "누가 문신하라고 권유한 거냐", "한국에서 어떤 활동 했냐" 등의 질문을 이어갔고, 결국 헨리는 문신을 하게 된 이유를 재차 설명해야 했다. 결국 직원은 헨리의 여권을 다시 확인한 후 입국을 허가했다.
헨리는 "2024년에 이런 일이 일본에서 벌어진 것"이라며 "순간 화도 났지만 서글픔이 더 컸다. 단지 문신 하나로 제 진심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게 너무 참담했다. 사과도 없이 그냥 그렇게 끝났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한국을 사랑하면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거 아닌가. 무궁화를 새기고, 태극기를 자랑스럽게 드러내는 건 단지 예쁜 문양이어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역사, 문화, 상징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몸에 문신하면 안 된다'는 개인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해도, 공항에서 따로 불러서 입국 못하게 하는 건 너무하지 않느냐"고 호소했다.
누리꾼들은 "정말 황당하고 억울했겠다", "단지 문신한 걸로 끌려가다니 북한인줄 알았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분노했다.
"원래 문신이 있으면 일본 입국 심사가 어렵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일본 입국 심사 제도에 따르면 외국인이 일본에 입국할 때 문신과 관련한 조항은 따로 규정돼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스웨덴 국적 유튜버 존 칼 헨리는 지난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스웨국인'을 통해 1년 전 일본 공항에서 태극기와 무궁화 문신을 했다는 이유로 끌려가 취조를 당한 사실을 밝혔다.
당시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헨리는 일주일 동안 일본 여행을 가기 위해 이 공항을 찾았다. 그는 비자 발급도 필요 없고 숙소도 다 예약돼 있어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본 입국 심사장에서 여권을 검사하던 일본인 직원이 문신이 새겨진 헨리의 팔을 가리키며 "이게 무슨 문신이냐"고 물었다고 한다.
헨리는 "상상도 못할만큼 차갑고 무서운 목소리로 '왜 외국인이 한국 상징을 문신으로 새기냐'고 물었다"며 "문신을 역겹게 쳐다보면서 '이건 보통 한국인만 한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에 헨리는 일본인 직원에게 "한국에서 7년을 보내는 동안 정말 많은 걸 배웠다"며 "제가 한국이라는 나라에 얼마나 깊이 애정을 가지게 됐는지 영원히 몸에 새기고 싶었다"고 문신을 새긴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 일본인 직원이 자신을 보안 인터뷰방으로 데리고 갔다고 헨리는 덧붙였다.
헨리는 "들어가는 순간 손에 식은땀이 줄줄 났다"며 "하얀 벽에 카메라 돌아가고 있고, 책상 하나, 직원 2명이 있었다. 진짜 북한 온 줄 알았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이 방에서 직원들은 30분 동안 "누가 문신하라고 권유한 거냐", "한국에서 어떤 활동 했냐" 등의 질문을 이어갔고, 결국 헨리는 문신을 하게 된 이유를 재차 설명해야 했다. 결국 직원은 헨리의 여권을 다시 확인한 후 입국을 허가했다.
헨리는 "2024년에 이런 일이 일본에서 벌어진 것"이라며 "순간 화도 났지만 서글픔이 더 컸다. 단지 문신 하나로 제 진심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게 너무 참담했다. 사과도 없이 그냥 그렇게 끝났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한국을 사랑하면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거 아닌가. 무궁화를 새기고, 태극기를 자랑스럽게 드러내는 건 단지 예쁜 문양이어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역사, 문화, 상징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몸에 문신하면 안 된다'는 개인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해도, 공항에서 따로 불러서 입국 못하게 하는 건 너무하지 않느냐"고 호소했다.
누리꾼들은 "정말 황당하고 억울했겠다", "단지 문신한 걸로 끌려가다니 북한인줄 알았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분노했다.
"원래 문신이 있으면 일본 입국 심사가 어렵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일본 입국 심사 제도에 따르면 외국인이 일본에 입국할 때 문신과 관련한 조항은 따로 규정돼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