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 연합뉴스
AD
인천시가 올해 도입한 여객선 요금 인하 정책인 '인천 아이(i) 바다패스'로 섬을 찾는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객 증가와 더불어 배표 매진 등 섬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9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1~3월 동안 인천 연안여객선(14개 항로)을 이용한 인천시민은 총 8만 6,84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 증가했다. 타·시도민의 이용객 수 역시 44.8% 증가하며, 7,53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천시가 올해 초 도입한 '바다패스' 정책 덕분에 연안여객선 이용객이 크게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천 아이(i) 바다패스'는 인천시민이 인천 연안여객선을 대중교통 요금 수준인 1,500원에 이용할 수 있는 정책으로, 타·시도민에게도 여객선 요금을 70% 할인해 준다.
이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인천 연안의 섬을 찾고 있으며, 백령도와 같은 섬의 식당 업주들에게는 관광객 증가로 매출이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찾아왔다.
그러나 관광 성수기와 저렴한 배표로 인해 일부 섬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백령도에 사는 한 주민은 "주말이나 기상악화로 배가 결항된 다음 날에는 온라인 예매가 거의 매진돼 있는 상황"이라며 "현장에 여분으로 주민 배표가 있지만, 예매를 확신할 수 없어 병원 예약이나 일정 잡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또한, 관광객 증가로 섬의 물이 부족해 흙물이 나올 때도 있다며, 관광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오는 주말인 24일과 25일 오전 8시 30분 출발하는 백령도행 여객선은 이미 예매 사이트에서 매진됐으며, 31일 동일 시간대의 노선도 일등석 외에는 좌석이 모두 팔린 상태다.
그러나 인천∼백령도 등 5개 항로에서 여객선 6척을 운항하는 고려고속훼리는 각 항차마다 주민 전용 좌석 60석을 확보해 현장에서 발권하고 있으며, 출항 30분 전까지는 일반인에게 표를 팔지 않는다고 밝혔다.
고려고속훼리 관계자는 "5월은 바다패스와 관계없이 여객 수요가 많아 표를 구하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배 출발 1시간 전에만 나오면 주민들은 충분히 표를 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옹진군은 고려고속훼리와 함께 군민 전용 매표 창구를 운영하고, 추가적인 주민 편의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또한, 인천시와 옹진군은 바다패스 정책에 따른 노쇼나 배표 취소 건수를 조사하고,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옹진군 관계자는 "섬에 관광객이 많아지면서 배표 문제뿐만 아니라 불법 임산물 채취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며 "인천시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고, 바다패스 정책이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9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1~3월 동안 인천 연안여객선(14개 항로)을 이용한 인천시민은 총 8만 6,84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 증가했다. 타·시도민의 이용객 수 역시 44.8% 증가하며, 7,53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천시가 올해 초 도입한 '바다패스' 정책 덕분에 연안여객선 이용객이 크게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천 아이(i) 바다패스'는 인천시민이 인천 연안여객선을 대중교통 요금 수준인 1,500원에 이용할 수 있는 정책으로, 타·시도민에게도 여객선 요금을 70% 할인해 준다.
이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인천 연안의 섬을 찾고 있으며, 백령도와 같은 섬의 식당 업주들에게는 관광객 증가로 매출이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찾아왔다.
그러나 관광 성수기와 저렴한 배표로 인해 일부 섬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백령도에 사는 한 주민은 "주말이나 기상악화로 배가 결항된 다음 날에는 온라인 예매가 거의 매진돼 있는 상황"이라며 "현장에 여분으로 주민 배표가 있지만, 예매를 확신할 수 없어 병원 예약이나 일정 잡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또한, 관광객 증가로 섬의 물이 부족해 흙물이 나올 때도 있다며, 관광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인천∼백령도 항로 오가는 '코리아프라이드호' 여객선 ⓒ 연합뉴스
실제로 오는 주말인 24일과 25일 오전 8시 30분 출발하는 백령도행 여객선은 이미 예매 사이트에서 매진됐으며, 31일 동일 시간대의 노선도 일등석 외에는 좌석이 모두 팔린 상태다.
그러나 인천∼백령도 등 5개 항로에서 여객선 6척을 운항하는 고려고속훼리는 각 항차마다 주민 전용 좌석 60석을 확보해 현장에서 발권하고 있으며, 출항 30분 전까지는 일반인에게 표를 팔지 않는다고 밝혔다.
고려고속훼리 관계자는 "5월은 바다패스와 관계없이 여객 수요가 많아 표를 구하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배 출발 1시간 전에만 나오면 주민들은 충분히 표를 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옹진군은 고려고속훼리와 함께 군민 전용 매표 창구를 운영하고, 추가적인 주민 편의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또한, 인천시와 옹진군은 바다패스 정책에 따른 노쇼나 배표 취소 건수를 조사하고,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옹진군 관계자는 "섬에 관광객이 많아지면서 배표 문제뿐만 아니라 불법 임산물 채취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며 "인천시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고, 바다패스 정책이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