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YTN
AD
대구와 인천, 부천 등에서 발견된 빈대가 서울 곳곳에서 발견됐다.
민간 방역업체가 이번 달에만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절반이 넘는 13개 구에서 총 24건의 빈대 방역 작업을 했다고 채널A가 단독 보도했다. 빈대가 출몰한 장소는 고시원과 가정집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빈대가 요즘 들어 다시 출몰한 이유는 국가 간 교역, 여행, 이민 등 증가 등이 이유로 꼽힌다. DDT 살충제에 내성이 생기고, 빈대의 천적인 바퀴벌레 개체 수가 줄어든 점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최광식 경북대 생물학과 교수는 "해외 교류가 요즘은 워낙 많아서 (해당 지역에) 어떤 외국인이 많고, 적고 문제라기보다는 어느 곳이나 빈대가 발견되는 추세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해외 유입 빈대의 경우 살충제 저항성이 있는 데다 좁은 틈에 은신하는 습성 때문에 박멸이 쉽지 않다. 뜨거운 수증기로 소독하거나 저항성 없는 살충제를 활용해 퇴치해야 한다.
서울에서도 빈대 출몰 신고가 나오면서 서울시는 빈대 예방 및 관리 안내서를 만들어 구청 등에 배포하고 선제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최가영 (weeping0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간 방역업체가 이번 달에만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절반이 넘는 13개 구에서 총 24건의 빈대 방역 작업을 했다고 채널A가 단독 보도했다. 빈대가 출몰한 장소는 고시원과 가정집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빈대가 요즘 들어 다시 출몰한 이유는 국가 간 교역, 여행, 이민 등 증가 등이 이유로 꼽힌다. DDT 살충제에 내성이 생기고, 빈대의 천적인 바퀴벌레 개체 수가 줄어든 점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최광식 경북대 생물학과 교수는 "해외 교류가 요즘은 워낙 많아서 (해당 지역에) 어떤 외국인이 많고, 적고 문제라기보다는 어느 곳이나 빈대가 발견되는 추세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해외 유입 빈대의 경우 살충제 저항성이 있는 데다 좁은 틈에 은신하는 습성 때문에 박멸이 쉽지 않다. 뜨거운 수증기로 소독하거나 저항성 없는 살충제를 활용해 퇴치해야 한다.
서울에서도 빈대 출몰 신고가 나오면서 서울시는 빈대 예방 및 관리 안내서를 만들어 구청 등에 배포하고 선제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최가영 (weeping0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