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량 5위’ 꼬깔콘 가격, 이번 달 200원 인상
다른 인기 과자 가격도 한꺼번에 올라
업체 "비용 전반적으로 올라 가격 인상 불가피"
다른 인기 과자 가격도 한꺼번에 올라
업체 "비용 전반적으로 올라 가격 인상 불가피"
장바구니 물가만큼 피부에 와 닿는 게 없죠.
그런데 인기 과자와 아이스크림은 물론, 한파에 채솟값까지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장 보는 시민들 목소리, 이준엽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국내에서 다섯 번째로 많이 팔린 과자, 꼬깔콘입니다.
이번 달부터 권장소비자가격이 1,500원에서 1,700원으로 올랐습니다.
빼빼로와 몽쉘, 마가렛트 등 다른 인기 과자들의 가격도 한꺼번에 인상됐습니다.
가격표를 본 소비자들은 진열대로 선뜻 손을 내밀지 못합니다.
[이효림 / 서울 응암동 : (오른 과자들을) 원래 많이 좋아하고 과자를 진짜 즐겨 먹는 편인데 가격이 오른다고 하면 금전적으로 일단 부담이 너무 많이 될 거 같고요. 많이 못 사 먹을 것 같다는 게 일단 아쉽게….]
제과업체는 원재료와 포장재 값뿐만 아니라 인건비, 전기·가스 요금 등도 전반적으로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하나에 2, 3천 원씩 하는 과자 가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최수지 / 서울 응암동 : 인터넷으로 대용량 시켜도 혼자 먹기 때문에 불편해 낱개로 살 수밖에 없는데, 그런 게 가계에 조금 부담이 됩니다.]
과자뿐만이 아닙니다.
식사 대용으로 가볍게 먹는 시리얼을 비롯해 초콜릿과 사탕, 껌과 함께, 아이스크림 값도 올랐습니다.
여기 냉장고 안에 있는 월드콘과 메로나, 각각 낱개 기준으로 천 원짜리인데 1,200원이 되면서 각각 20%씩 올랐습니다.
한파에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채솟값 역시 위태롭습니다.
특히, 당근 가격은 마트 소매가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0% 이상 비싸졌습니다.
또, 오이와 애호박 등 시설채소 중심으로 값이 워낙 뛰어서, 한번 장을 보려면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합니다.
[김효경 / 서울 구산동 : 우선 불필요한 거는 안 고르려고 하고 있고요. 우선순위를 둬서 메모한다든지 해서 장을 보고 있습니다.]
난방비에 택시요금, 먹거리 물가까지 안 오르는 게 없는 요즘,
서민들의 지갑은 점점 얇아지고 한숨은 더욱 깊어집니다.
YTN 이준엽입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회
기사목록 전체보기